생활법률 - [제5강] 취업과 근로조건
- 자본주의 사회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및 국가의 관계를 규율
- 근로자는 사용자에 비해 실질적으로 경제적·사회적 약자라는 인간관을 기초하여 근로자의 인권과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고 근로자와 사용자 및 국가의 상생의 발전을 도모하는 법
- 근로자의 인간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근로조건의 최저기준을 정한다.
- 근로자가 근로권을 보장받도록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하고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을 양립할 수 있는 근로환경의 기준을 정한다.
-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통해 집단적으로 근로조건 등의 유지•향상을 위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동기본권(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을 부여한다.
- 민법의 기본원칙(소유권절대보장의 원칙, 계약자유의 원칙, 과실(過失)책임의 원칙)을 수정 =>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하여 부상, 질병, 장해, 사망한 경우에 사용자의 고의나 과실이 없더라도 재해보상
- 사용자가 정규직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려면 「근로기준법」이 정한 바에 따라 주요한 근로조건에 관하여 근로자에게 명시하여 알려 줘야 하며,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ㆍ지급방법, 소정근로시간, 휴일, 연차유급휴가에 관한 사항이 명시된 서면을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 사용자는 미성년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는 법정대리인이 아니라 본인과 직접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다만, 친권자, 후견인 또는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계약이 미성년자에게 불리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를 해지할 수 있다.
※ 비정규직의 근로계약
- 「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한 기간제 근로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려면 임금, 근로시간, 휴게, 휴일·휴가, 취업의 장소와 종사하여야할 업무에 관한 사항 뿐 아니라 근로계약기간을 서면으로 명시해야 한다. 법령에서 예외적인 경우로 정한 사유가 없는 한, 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근로계약기간을 정할 수 있다. 기간제근로자로 사용한 기간이 2년을 초과하면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간주된다.
- 사용자는 단시간 근로자(같은 종류의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보다 주당 근로시간이 짧은 근로자)의 근로계약서에는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을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해야 한다.
③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근로자에게 주요한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명시하여 알려주어야 한다.
④ 사용자는 근로자를 계약직으로 채용하려면 계약기간을 3년 이내로 해야 한다.
[2011 기말] 5. 근로자와 사용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근로자란 취업자를 말한다.
② 시민단체 대표와 교회 목사는 소속 유급 직원이 있더라도 사용자는 아니다.
③ 근로자는 사용자의 지휘명령에 따라 노동력을 성실히 제공할 의무가 있다.
④ 사용자는 근로자가 근무시간 중에 투표권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동일한 근로조건에 관해 여러 규범아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 「근로기준법」이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노사자치규범 중에는 단체협약, 취업규칙, 근로계약의 순으로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다(상위규범 우선의 원칙)
- 「근로기준법」과 노사자치규범 중 근로자에게 가장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것으로 근로조건을 결정한다(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
- 공무원인 근로자는 공무원관계법을 우선 적용받고, 선원인 근로자는 선원관계법의 적용을 우선 적용받는다(특별법 우선의 원칙).
②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근로자에게 사실과 다른 근로조건을 알려준 경우에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③ 사용자는 근로자가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친권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④ 기간제 근로자의 근로계약기간은 2년 이내가 원칙이다.
[2012 하계] 16. 근로계약의 체결과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사용자는 근로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그 친권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② 근로계약은 반드시 서면으로 체결해야 효력이 있다.
③ 사용자와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이 정한 수준 이상으로 근로조건을 정해야 한다.
④ 출산전후휴가의 기간을 근로기준법 이 90일, 단체협약이 100일, 근로계약과 취업규칙이 95일로 정한 경우 그 사업장의 근로여성은 90일
의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
[2012 대체] 7. 근로계약의 체결 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사용자는 근로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그 부모와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② 근로계약은 서면으로 체결하지 않아도 효력이 있다.
③ 사용자가 명시한 근로조건이 사실과 다를 경우에 근로자는 근로조건 위반을 이유로 손해의 배상을 노동위원회에 청구할 수 있다.
④ 근로계약 불이행에 대한 위약금 또는 손해배상액을 예정하는 계약을 체결하지 못한다.
[2012 대체] 8. 근로기준법 은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어떤
회사에서 매월 유급으로 쉴 수 있는 휴일에 관해 근로계약은 3일, 단체협약은 5일, 취업규칙은 4일로 정해져 있다. 이회사의 노동조합 조합원
인 근로자들은 매월 며칠의 휴일을 가질 수 있는가?
① 1주일에 평균 1회 ② 3일 ③ 5일 ④ 4일
[2011 기말] 1. 취업과 근로조건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근로자를 채용하면 사용자는 사업규모에 관계없이 취업규칙을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② 사용자와 근로자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지면「근로기준법」이 정한 수준 이하의 근로조건을 정할 수 있다.
③ 사업장에서 출산휴가의 기간을「근로기준법」이 90일, 단체협약이 100일, 근로계약이 80일, 취업규칙이 95일로 정한 경우 그 사업장에서 근
로하는 여성은 출산휴가를 100일 사용할 수 있다.
④ 사용자는 근로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그 친권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 임금 :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근로의 대가로 법령 또는 노사자치규범에 근거하여 의무적·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품 (임금 X => 출장비 등의 실비변상적 경비, 경조사비와 같은 호의적・은혜적 금품, 부정기적으로 지급된 특별보너스)
- 사용자는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금을 근로자에게 통화로, 직접, 전액, 정기적으로 지급 해야 한다.
- 사용자는 직접지급의 원칙에 따라 미성년근로자가 임금을 독자적으로 청구하면 임금을 그 근로자의 친권자나 대리인이 아니라 본인에게 직접 지급해야 한다.
- 사용자는 남녀가 동일사업 내의 동일가치노동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 사용자는 매년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최저임금액이상의 임금을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한다.
- 아파트 경비원등과 같은 감시근로자와 자가용 운전사와 보일러공과 같은 단속적 근로자의 최저임금액은 2014년까지 일반근로자의 90%였으나 2015년부터는 일반근로자와 동일한 금액으로 한다.
- 수습 사용한 날부터 3개월 이내인 사람의 최저임금은 일반근로자의 90%이나, 1년 미만의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 로자는 감액하지 아니한다.
- 저임금액은 1시간당 2015년은 5,580원, 2016년은 6,030원이다.
- 최저임금액에 미달하는 임금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한하여 이를 무효로 하며, 무효로 된 부분은 최저임금액과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기로 정한 것으로 본다.
- 최저임금액보다 적은 임금을 지급하거나 최저임금을 이유로 종전의 임금을 낮춘 사용자는 형사처벌받는다.
③ 수위와 경비원등의 감시근로자와 단속적 근로자, 수습근로자의 최저임금액은 일반근로자의 80%이다.
④ 임금과 퇴직급여를 받을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한다.
[2014 하계] 22. 임금과 퇴직급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사용자는 임금을 통화로, 직접, 전액을 정기적으로 지급해야 한다.
② 최저임금액은 시간급으로 표기되며,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는데 미성년자에게는 10%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다.
③ 아파트 수위의 최저임금은 현재 일반근로자의 90%이며, 2015년부터는 100%가 된다.
④ 임금과 퇴직급여를 받을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한다.
[2013 기말] 9. 근로자에게 합법적으로 임금을 지급한 사용자의 행위는?
① 임금의 일부를 회사가 생산한 제품으로 지급하였다.
② 근로자에게 빌려준 돈의 원금일부와 이자를 공제하고 임금을 지급하였다.
③ 미성년 근로자의 임금을 부모가 요구해도 본인에게 지급하였다.
④ 아파트수위에게 2013년도 최저임금의 20%를 감액하여 지급하였다.
[2012 대체] 9. 2012년의 최저임금제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최저임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지 않은 사용자는 처벌받는다.
② 고용노동부장관이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매년 결정·고시한다.
③ 수습사용한 날부터 3개월 이내인 자는 10%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되, 1년 미만의 기간을 정하여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의 경우는 감
액하지 않는다.
④ 아파트 경비원의 최저임금은 일반근로자의 80%로 할 수 있다.
[2011 기말] 2. 임금과 퇴직금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사용자는 임금의 일부를 그에 상당하는 물건이나 상품권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빌려준 돈의 원금일부와 이자를 공제하고 임금을 지급할 수 있다.
③ 2011년에 편의점 사장이 근로자에게 시간당 4천원의 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위법이다.
④ 상시 근로자수가 4명 미만인 사업장의 사용자는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 근로시간 :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받으며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으로서, 작업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에서 휴게시간을 제외한 실근로시간 (대기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
- 휴게시간 : 근로시간 도중에 근로자가 작업에 관한 사용자의 지휘·감독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시간(근로시간이 4시간=> 30분이상, 8시간=> 1시간 이상)
- 임신 중인 여성은 시간외 근로를 시킬 수 없다.
- 부득이 한 경우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시간외 근로, 연장근로)시킬 수 있으나. 근로자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다.
- 초과근로시간은 18세 이상자는 1주에 12시간이내, 18세미만자(연소자)는 1일 1시간·1주 6시간이내, 출산후 1년이 지나지 않은 여성은 1일 2시간이내·1주 6시간이내·1년 150시간이내이다.
- 야간근로(밤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와 휴일근로를 임산부와 18세마만자에게 시키려면 본인의 동의 외에 근로자대표와의 성실한 협의, 고용노동부장관의 인가를 얻어야 한다.
- 사용자는 초과근로에 근로에 대한 보상으로 가산수당 또는 보상휴가를 주어야 한다.
- 사용자는 시간외 근로와 야간근로,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각각 가산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 사용자는 저녁 7시부터 밤 10시 전까지는 시간외 근로에 대한 가산수당으로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지급해야 한다. 밤 10시부 터 12시까지는 통상임금의 100% 이상의 가산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2014 대체] 11. 현행법상의 근로조건에 관한 법정기준이 아닌 것은?
① 임금은 통화로, 직접, 전액, 정기적으로 지급되어야 한다.
② 임산부와 18세미만자의 법정근로시간은 1일 7시간, 1주 40시간이다.
③ 2년 근무하다가 퇴직한 근로자는 퇴직금을 평균임금의 60일 이상 받을 수 있다.
④ 법정유급휴일은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주휴일과 ‘근로자의 날’ 밖에 없다.
[2014 하계] 23. 근로시간과 연장근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를 주어야 하며, 휴게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않는다.
② 1일 8시간, 1주 40시간의 법정기준근로시간제는 현재 모든 사업장에서 실시하고 있다.
③ 임산부와 18세미만자의 법정근로시간은 1일 7시간, 1주 40시간이다.
④ 사용자가 18세 이상의 근로자에게 연장근로를 시키려면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고 1주 12시간 한도로 해야 한다.
[2013 기말] 11. 법정근로시간과 연장근로에 관한 설명 증 틀린 것은?
① 18세 미만자와 임산부를 제외한 근로자의 법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이다.
② 임신중인 여성에게는 시간외근로를 시킬 수 없다.
③ 사용자는 18세 이상의 근로자에게 본인의 동의를 얻은 후 1주 12시간 한도로 연장근로를 시킬 수 있다.
④ 사용자가 밤 10시부터 오전 6시 사이에 근로를 시키면 통상임금의 100%을 가산수당으로 지급해야 한다.
[2013 하계] 23. 현행법의 근로시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를 주어야 한다.
② 1일 8시간, 1주 40시간의 법정기준근로시간제는 2013년 현재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③ 임산부와 18세미만자의 법정근로시간은 1일 7시간, 1주 40시간이다.
④ 사용자가 18세 이상의 근로자에게 연장근로를 시키려면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고 1주 12시간 한도로 해야 한다.
- 주휴일은 법정유급휴일이므로 반드시 주어야 한다. 주휴일은 반드시 일요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 회 이상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어느 특정일에 주면 된다.
- 근로자의 날(5월 1일)도 법정유급휴일이나 공무원과 교사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 2014년부터 공무원의 경우 설 · 추석 연휴가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그 날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을 공휴일로 하고, 어린이날은 토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그 날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을 공휴일로 한다.(민간기업과 공기업은 의무적용이 아니다)
-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고,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되,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근속년수 | 1 년 | 2 년 | 3 년 | 4 년 | 5 년 | 30 년 |
휴가일수 | 15 일 | 16 일 | 17 일 | 18 일 |
-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다음 달에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사용자는 근속 1년이 된 해에 연차유급휴가를 주는 경우에는 지급한 유급휴가를 포함하여 15일 의 휴가를 주면 된다.
- 사용자는 연차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 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 할 수 있다.
[2014 기말] 12. 근로시간과 휴가·휴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사용자는 18세 이상의 근로자에게 연장근로를 시키려면 본인의 동의를 얻어 1주 12시간 한도로 근로시켜야 하며, 가산수당 또는 보상휴가
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8시간이면 1시간 이상, 4시간이면 30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중에 주어야 한다.
③ 사용자는 임산부에게 90일의 출산전후휴가(쌍둥이 임신에는 120일)를 제공하되, 출산 후에 45일 이상(쌍둥이 임신에는 60일 이상)이 되어
야 한다.
④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다음해에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고,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7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2014 하계] 24. 휴일과 휴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법정유급휴일은 주휴일과 ‘근로자의 날’ 밖에 없다.
②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연차휴가를 주어야 한다.
③ 근속기간이 1년미만인 근로자는 1개월 개근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④ 여성근로자는 월 1일의 유급생리휴가를, 남성근로자는 유급 5일의 배우자 출산간호휴가를 청구할 수 있다.
[2013 기말] 12. 휴가에 관한 현행의 법정기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생리휴가는 월1일, 무급휴가이다.
② 남성근로자가 출산한 아내와 신생아를 돌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휴가는 5일이며 무급휴가이다.
③ 출산전후휴가는 90일이며 그중 60일은 유급이고 나머지 30일은 고용보험에서 급여가 지급되는 것이 원칙이다.
④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연차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2013 하계] 24. 현행법의 휴일과 휴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법정유급휴일은 주휴일과 근로자의 날 밖에 없다.
② 사용자는 1년간 9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③ 사용자는 근속기간이 1년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1개월 개근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④ 출산전후휴가기간은 90일이며 그중 60일은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2012 하계] 18. 휴일과 휴가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휴일은 법정유급휴일이며 반드시 일요일에 주지 않아도 된다.
② 근로자는 출근율에 관계없이 1년간 근무하면 15일의 유급연차휴가를 가질 수 있다.
③ 임신하지 않은 여성근로자가 청구하면 월 1일의 생리휴가가 무급으로 제공된다.
④ 상시 근로자 300명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2012년 8월 2일부터 5일의 범위에서 3일 이상의 배우자 출산간호휴가(최초 3일은 유급)가 제공
되어야 한다.
[2011 기말] 3. 근로시간과 휴일․휴가에 관한 법의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상시 근로자수가 30명 미만인 사업장에서 근로하는 자의 법정기준 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4시간이다.
② 사용자는 근로자의 동의를 얻어 1주 12시간 한도로 연장근로를 시킬 수 있다.
③ 1년간 8할 이상 출근한 근로자는 다음 해에 15일의 유급연차 휴가를 가진다.
④ 매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법으로 정해진 유급휴가이다.
'컴퓨터과학[3-2] > 생 활 법 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법률 - [제7강] 노동조합과 노사협의회 요약 및 기출 (0) | 2016.07.09 |
---|---|
생활법률 - [제6강] 근로환경과 근로관계 종료 요점과 기출 (0) | 2016.07.09 |
생활법률 - [제4강] 재산상속 요약과 기출 (0) | 2016.07.08 |
생활법률 - [제3강] 가족과 친족의 관계 요약과 기출 (0) | 2016.07.07 |
생활법률 - [제2강] 부모와 자녀의 관계 요약과 기출 (0) | 2016.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