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2-2]51

수학 미적분I - 정적분의 계산 1 수학 미적분I - 정적분의 계산 1 홀수차의 적분 = 0 짝수차의 적분 = 2적분 f(-x) = f(x) --> Symmetry on Y axis (Y축대칭) f(-x) = -f(x) Symmetry at origin The static integral in the composite function : 정적분에서의 합성함수의 겉미분 속미분 참조 : 토모수학 555-6554 2018. 3. 18.
수학 미적분I - 극대와 극소 문제풀이 수학 미적분I - 극대와 극소 문제풀이 극점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극점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함수f(x) = cos(3πx)/x, 0.1≤x≤1.1에서의 극값. 일부 극값은 최대/최솟값이기도 하다.해석학에서, 함수의 극대점(極大點, 영어: local maximum point)은 주위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상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다. 극댓값(極大값, 영어: local maximum (value))은 극대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마찬가지로, 함수의 극소점(極小點, 영어: local minimum point)은 주위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하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며, 극솟값(極小값, 영어: local minimum (value))은 극소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극대점과 극소점을 통틀.. 2018. 3. 10.
수학 미적분I - 평균값 정리와 함수의 극대와 극소 평균값 정리와 함수의 극대와 극소 함수의 극대점(極大點, 영어: local maximum point)은 주위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상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다. 극댓값(極大값, 영어: local maximum (value))은 극대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마찬가지로, 함수의 극소점(極小點, 영어: local minimum point)은 주위의 모든 점의 함숫값 이하의 함숫값을 갖는 점이며, 극솟값(極小값, 영어: local minimum (value))은 극소점이 갖는 함숫값이다. 극대점과 극소점을 통틀어 극점(極點, 영어: local extremum point)이라고 하며, 극댓값과 극솟값을 통틀어 극값(영어: local extremum (value))이라고 한다. 기하학적으로, 함수의 그래프는 극대점에서.. 2018. 3. 7.
수학II - 등비수열 수학II - 등비수열 $a_1 = a$ 일정한 수 $\enclose{circle}r\nearrow^{공비}$를 곱해서 만든 수들의 집합 $ \begin{array}{|lr|} a_1 & a_2 & a_3 & a_4 &\dotsc &a_n\cr a & ar^1 & ar^2 & ar^3 &\dotsc &ar^{n-1} \end{array} \space\therefore \space a_n = a_1 * r^{n-1}\\ \color{blue}{변수가\, 지수\, 자리에\, 있다\, =\, 등비수열}\\ $ 등차수열 $ \begin{array}{|lr} a_n & - a_5 &= (n - 5)d\cr a_n & - a_1 &= (n - 1)d \end{array} \,\,\,\, $ 등비수열 $ \begin{.. 2018. 1. 23.
수학II - 등차수열의 합 초항 : $a_1 = a$ 이고 공차 : $d$인 등차수열 J 수열 J의 합계 : $S_n = a_1 + a_2 + a_3 + \dotsc + \enclose{circle}{a_n}\nearrow^l$에서 $a_n$을 $l$이라고 하자. 이때 수열 J의 합계는 $S_n = a + (a+d) + (a + 2d) + \dotsc + l$ 과도 같으며 이 것을 수열 J-1이라 하자. 또한 수열 J의 합계는 $S_n = l \space+ (l - d) \space+ (l - 2d) \space+ \dotsc + a$ 와도 같으며 이 것을 수열 J-2라 하자. 이 때 수열 J-1과 J-2를 합하면 $ \begin{alignat}{2} S_n &= a &+ (a+d) &+ (a + 2d) &+ \dotsc &+ l.. 2018. 1. 20.
수학II - 조화수열: 등차수열의 한종류 조화수열: 등차수열의 한종류 일정하지 않은 수열에 역수를 취하였을 때 등차인 수열 $a_1,\space\space a_2,\space\space a_3,\space\space a_4,\dotsc,\space\space a_n$ $\frac{1}{a_1}, \frac{1}{a_2}, \frac{1}{a_3}, \frac{1}{a_4}, \dotsc, \frac{1}{a_n}$ 수열의 각 항이$12,\space\space 6,\space\space 4,\space\space 3,\dotsc\dotsc$ 일 경우 각 항의 역수를 취해보면 $\frac{1}{12}, \frac{1}{6}, \frac{1}{4}, \frac{1}{3}, \dotsc\dotsc$이며 $\frac{1}{6} - \frac{1}{12}.. 2018.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