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법률 - [제11강] 부동산의 거래와 손해배상 요약 및 기출
- 현행법상 부동산에 관한 법률행위로 인한 물권변동은 매매계약과 등기를 하여야 효력이 생긴다.
- 상속, 공용징수, 판결, 경매 기타 법률의 규정에 의한 부동산에 관한 물권의 취득은 등기를 요하지 아니하나, 등기를 하지 아니하면 이를 처분하지 못한다.
[2013 기말] 21. 부동산의 매매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소유권 이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건은 매매계약과 등기이다.
② 상속과 경매에 의한 부동산의 취득은 등기를 요하지 아니하지만, 등기하지 아니하면 처분하지 못한다.
③ 매수인이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은 잔금을 다 치르고 나서 이전등기를 한 때이다.
④ A가 소유아파트를 B의 명의로 등기하였는데 B가 C에게 팔아버렸고 C는 B가 실제 소유주가 아님을 알면서도 등기를 완료한
경우에 A는 C에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2012 하계] 33. [2012 기말] 23. 부동산 소유권 이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건은?
① 매매계약 ② 매매계약과 등기 ③ 전입신고 ④ 등록
-임차인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하기 위한 요건 :전입신고 +확정일자 +주택의 인도
-주택임대차의 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 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계약을 한 것으로 본다.
[2014 기말] 24. 현행법상 부동산의 거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부동산에 관한 법률행위로 인한 물권변동은 매매계약과 등기를 하여야 효력이 생긴다.
② 상속, 공용징수, 판결, 경매 기타 법률의 규정에 의한 부동산에 관한 물권의 취득은 등기를 요하지 아니하나, 등기를 하지 아
니하면 이를 처분하지 못한다.
③ 주택임대차의 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④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3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
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계약을 한 것으로 본다.
[2013 기말] 22. [2012 하계] 35.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임차인이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하기 위한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전입신고 ② 등기 ③ 확정일자 ④ 주택의 인도
[2013 기말] 23. 주택임대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주택임대차의 기간을 1년으로 정하더라도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본다.
② 주택임차인이 임대인의 승낙을 얻어 임대주택을 전대한 경우에 그 전차인이 주택을 인도받아 자신의 주민등록을 마친 경우에
는 임차인은 대항력을 잃는다.
③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
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④ 임차인은 보증금 중 일정액을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권리가 있다.
[2012 기말] 24. [2012 하계]36. 주택임대차보호법 이 임차인을 위하여 보장하는 최소한의 임대차기간은?
① 2년 ② 3년 ③ 4년 ④ 5년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있어서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에 손해가 발생하여야 불법행위책임을 진다.
- 고의·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그 피해를 주장하는 자가 부담한다.
- 종업원이 업무와 관련하여 제3자에게 불법행위를 하면 사용자는 적절한 위험발생 방지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제3 자에게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않거나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을 경과한 때에도 시효로 소멸한다.
2014 기말] 25.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에 손해가 발생하지 않아도 불법행위책임을 진다.
② 고의·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그 피해를 주장하는 자가 부담한다.
③ 종업원이 업무와 관련하여 제3자에게 불법행위를 하면 사용자는 적절한 위험발생 방지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④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않거나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을 경과한 때에도 시효로 소멸한다.
[2013 기말] 24.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불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3년이 경과하면 소멸된다.
② 태아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에 관하여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③ 종업원이 업무와 관련하여 제3자에게 불법행위를 하면 사용자는 적절한 위험 발생방지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에 제3자에게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④ 위자료청구권은 상속된다.
[2012 기말] 25.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이 소멸하는 때는 언제인가?
① 불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3년
②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③ 불법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
④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10년
'컴퓨터과학[3-2] > 생 활 법 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할법률 - [제13강] 범죄와 형벌 요약 및 기출 (1) | 2016.07.09 |
---|---|
생활법률 - [제12강] 형사사건의 고소와 수사 요점 및 기출 (0) | 2016.07.09 |
생활법률 - [제10강] 상품과 서비스 그래와 소비자 보호 요약 및 기출 (0) | 2016.07.09 |
생활법률 - [제9강] 계약과 금전의 거래 요약 및 기출 (0) | 2016.07.09 |
생활법률 - [제8감] 사회보장제도 요점 및 기출 (0) | 2016.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