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개론 - 6 개인행동의 관리
동기유발과 성과향상의 관계
- 우수한 성과 들성을 위해서는 '사기와 능력'이 필요
사기와 능력중 사기(marale)가 더 중요
- 동기유발(motivation)의 어원
라틴어 'movere'에 기원을 두며 그 뜻은 'to move'(움직이고 감동 시킨다는 뜻)
- 동기유발의 세가지 의미
인간의 행동을 활성화(energizing)하고
행동의 방향을 설정, 목표를 지향하도록(direction)
인간의 행동을 유지(maintaining), 지속(sustaining) 시키는것
동기부여의 중요성은 레빈의 성과란'의욕과 능력의 함수'라는 산식에서 잘 나타남
P(성과) = f(의욕(motivation), 능력(ability))
실력이 부족(3)해도 의욕이 높으면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1) 상한으로 올라가게 됨(예: 60년대 대한민국 자동차산업)
(2)번처럼 실력은 있지만 의욕이 없다면 성과는 점점 하락
•흡수능력(absorptive capacity)
– 새로운 지식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소화하며 적용하는 능력
– 사전지식이 얼마나 있느냐와 노력의 강도라는 두 가지로 결정되며, 사전지식은 능력이며, 노력의 강도는 의욕, 동기유발 정도
•동기부여의 사이클 : 욕구 → 동인 → 목표 순서
– 욕구 : 어떤 시기에 개인이 갖는 결핍(deficiency, deprivation)
– 동인 : 행위지향성을 지닌 욕구
– 목표 : 목표만족을 통해 균형(homeostasis) 도달하는 것
동기유발과 연관된 내용이론의 종류와 개념
아브라함 매슬로 : 욕구 5단계 동기부여 이론
–임상심리학자인 매슬로우가 만든 이 모델(1943)은 가장 대표적인 동기부여이론
–인간의 욕구를 개념적으로 가장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까지 5단계로 구분
–이 이론의 특징은 하위욕구부터 가장 높은 상위욕구까지 순서대로 계층을 이루며 나타남
•결핍-지배(deprivation- domination) : 어떤 욕구가 채워지지 않으면 더욱 그 욕구를 추구하여 그 욕구가 지배적인 중요 욕구가 됨
•충족-진행(gratification activation) : 또한 결핍된 욕구가 채워지면 더 이상 그 욕구는 동기부여 요인으로서 힘을 잃고 그 다음 상위단계의 욕구가 중요하게 대두된다는 것
알더퍼 : ERG 이론
매클랜드 : 성취동기 이론
허즈버그 2요인 이론
X-Y 이론(성악설-성선설)
동기유발과 연관된 과정이론의 종류와 개념
공정성 이론
기대이론
동기부여 10대 실천전략
1 어려움(Difficulty)
– 동기부여는 어느 정도 어려움과 난이도 속에서 발생
–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보상이 충분한 가치가 있기 때문
2 살찐 행복한 쥐(Fat Happy Rats)
-'긍정적 긴장(positive tension)'을 유지필요
–심리학 실험에 의하면 살찐 행복한 쥐는 절대 뛰지 않고, 단지 앉아만 있음
-긍정적 긴장은 '어떻게 하면 우리가 좀 더 잘할 수 있을까?'의 직접적인 답인 신바람(excitement)을 의미
–각 개인의 신바람 발생장치인 '재능의 선택'이 매우 중요
3 낮은 지적 요소(Low Intellectual Content)
-만약 좋다고 느껴진다면, '왜'인가 의문을 갖지 말고, 그것을 행동으로 실천
–동기부여에 있어서 매우 흥미로운 점은 감정(emotion)에는 지적인 요소(intellectual content)가 별로 없다
-관리자는 동기부여에서 논리적이고 이치적인 설명으로 감정을 다룰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함
4 쾌락주의(Hedonism)
-각 개인의 차이를 인식하는 데에서 출발
-관리자는 비공식적 보상에 대한 통제권 유지 필요
–비공식적 보상으로서 업무 할당, 출장, 장비 등이 있음
5 자아의 보호(Protection of Self)
-각 개인은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패에 대한 가능성 또는 그 결과로부터의 보호 필요
-사람에 대한 존경과 존중이야말로 일에 대한 신바람을 만들어내는 선도자
6 자아의 함양(Enhancement of Self)
-실패로부터 부하를 보호하겠다는 메시지와 함께, 성공했을 때에만 보상의 증가가 있다는 점을 전달해야 함
-관리자는 자아의 보호 욕구와 자아함양이라는 욕구 사이에서 대립되는 면이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함
7 사회적 상대성(Social Relativity)
-리더는 감독에 소비한 시간과 동기부여에 소비한 시간을 구분하여 관리 필요
–성과가 낮은 사람들의 동기부여를 위해 시간을 소비하지 말고, 그 시간을 성과가 높은 사람들에게 사용해야 함
-감점주의보다 가점주의를 더 활용
–성과가 낮은 사람에 대한 징계는 공개하지 않고, 성과가 높은 사람에 대한 보상은 가능한 한 공개
8 싫증 대 변이(Satiation vs. Variability)
-리더는 조금씩 영원한 혁싞을 의미하는 '제한된 트로츠키즘(Trotskyism)'의 형태로 관리하는 스킬이 필요
–지속적인 작은 변화는 위협적인 큰 변화의 필요성을 방지
9 적절한 간격(Juxtaposition)
-보상은 적절한 시간 간격을 두고 신축적으로 제공해야 효과가 있음
–사람들의 기억력은 보상에 의한 동기부여와 그에 따른 행동을 고려해 볼 때 매우 짧음
10 기대감(Expectation)
-기대에 관한 원칙은 보상이 징계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
-따라서 부하직원이 기대하는 것에 적절하게 보상 실시
스스로 동기유발하는 방법
마인드컨트롤
-자성예언: 좋은 소망을 계속 품고 이를 지속적으로 원하면 자싞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것
-속담 : ‘말이 씨앗이 된다’
-피그말리온 효과 : 조각가인 피그말리온이 아름다운 여인상을 만들고, 이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사람으로 바뀌길 간절히 원하자 신이 정성에 감복해 사람으로 바꾸어주었다는 전설
목표와 위기의식
-위기는 밖에서 주어진 것과 안에서 스스로 만드는 것이 있음
-외적인 위기 : ‘발등의 불’
-내적인 위기 : 구체적이고 높은 목표를 설정하여 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끊임없이 채찍질하는 것
자기관리 방식
•드러커 교수가 제시한 자기관리를 위해 우리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할 7가지 내용
- 첫째, 나의 강점은 무엇인가(what are my strengths)?
- 둘째, 어떻게 나의 성과를 극대화 할 것인가(How do I best perform)?
- 셋째, 나는 무엇에 가치를 두는가(What are my values)?
- 넷째, 나는 어디에 소속되어 있는가(Where do I belong)?
- 다섯째, 내가 기여하는 바는 무엇인가(What should I contribute)?
- 여섯째, 나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해 책임을 지는가(Am I responsible for relationships)?
- 일곱째, 나의 다음 경력은 무엇인가(What will I do next)?
동기부여 이론을 토대로 하고 사람의 욕구를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사업
'정보통계학[2-1] > 경영학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원론 - 경영이란? (0) | 2019.02.20 |
---|---|
경영학개론 - 7 의사결정과 위험관리 (0) | 2018.03.03 |
경영학개론 - 요약 (0) | 2018.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