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과학[4-2]72 인공지능 - [12] 컴퓨터시각(1) 및 패턴인식(1) 인공지능 - [12] 컴퓨터시각(1) 및 패턴인식(1) 영상분할이란 영상 내의 유사한 속성을 갖는 영역들을 분리함으로써 물체의 영역을 구분하는 처리이다.영상의 이진화는 밝기에 따라 영상을 두 영역으로 구분하며, 분할과 합병 알고리즘은 4분 트리를 이용하여 균일하지 않은 정사각형 영상 영역을 4개의 정사각형 부 영역으로 나누는 분할과, 서로 유사한 속성의 네 영역을 합하여 하나의 정사각형 영역으로 모으는 합병 과정을 반복하여 영상을 분할하는 방법이다. 에지를 검출하는 방법은 소벨 연산자와 같은 1차 미분을 사용하는 방법과 라플라스 연산자와 같이 2차 미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체인코드는 인접 경계점을 방향코드로 표현함으로써 물체의 경계를 표현한다. 패턴인식 시스템은 주어진 입력 패턴을 식별하여 적절한 .. 2017. 7. 5. 인공지능 - [11] 컴퓨터 시각(1) 인공지능 - [11] 컴퓨터 시각(1) 컴퓨터 시각(computer vision)은 인간의 시각체계에 해당되는 능력을 컴퓨터에 심어 넣기 위해 연구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이다. 컴퓨터 시각 시스템은 센서 및 A/D 변환기를 통해 시각적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영상 취득 단계, 취득한 영상을 보다 처리하기 좋은 형태로 가공하는 전처리 단계, 영상을 몇 개의 의미 있는 영역으로 나누는 영상 분할 단계, 분할된 영역들로 구성되는 객체를 해석하기 위해 각각의 영역들을 적절한 방법으로 컴퓨터 내에 묘사하는 영상 표현 단계, 표현된 대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구하는 분석 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본화와 양자화를 통해 사각형 격자 구조로 나열된 픽셀들로 구성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을 입력한다. 공.. 2017. 7. 5. 인공지능 - [10] 퍼지이론 인공지능 - [10] 퍼지이론 퍼지집합은 원소의 포함 여부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집합으로, 의미가 모호한 개념을 표현할 때 이용한다. 퍼지집합의 원소는 0부터 1 사이의 범위에 속하는 값을 갖는 소속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퍼지집합의 여집합은 소속함수 값을 1에서 뺀 값으로, 합집합과 교집합은 각각 소속함수값의 최댓값과 최솟값으로 정의된다. 퍼지논리는 0부터 1의 범위에 속하는 논리값으로 명제의 진리값을 표현한다. 퍼지규칙은 “IF 조건부 THEN 결론부”의 형태로 표현되며, 조건부 및 결론부에 언어적 변수를 포함한다. 변수의 값에 언어적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조건부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사실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다. 퍼지집합 X와 Y가 다음과 같을 때 퍼지집합 연산이 올바른 것은? (단, A.. 2017. 7. 4. 인공지능 - [9] 생성 시스템 인공지능 - [9] 생성 시스템 생성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생성규칙을 저장하는 생성 메모리,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실을 저장하는 작업 메모리, 현재의 작업 메모리 내용에 따라 규칙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인터프리터이다. 생성규칙은 ‘IF 조건부 THEN 결론부’ 형태로서, 조건과 이에 따라 제시할 결론이나 행동을 지시한다. 추론 방법은 연역법, 유도법, 귀납법 등이 있으며, 그 중 추론 결과가 항상 옳은 것은 연역법으로, ‘IF A THEN B’라는 규칙과 ‘A’라는 사실로부터 ‘B’를 결론으로 추론한다. 전방향 추론은 조건부를 만족하는 규칙을 찾아 실행하는 것으로 주어진 사실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내고자 할 때 사용한다. 후방향 추론은 도출하고자 하는 결론을 제시하는 규칙의 조건부.. 2017. 7. 4. 인공지능 - [8] 논리에 의한 지식표현 인공지능 - [8] 논리에 의한 지식표현 술어논리의 기본명제는 객체와 이를 수식하는 술어로 분해하여 ‘술어(객체)’ 형식으로 표현한다. 객체는 객체상수, 객체변수,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객체변수에 대해 전칭기호(∀)나 존재기호(∃)라는 한정기호를 사용하여 변수에 대한 정의역 내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술어논리식의 도출을 하려면 도출절의 쌍에서 도출 대상에 변수가 존재할 경우 객체가 서로 일치하도록 단일화를 해야 한다. 도출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공리를 연언 표준형으로 표현하여 절들을 분리해 낸다. 도출연역에 의한 정리 증명은 증명하고자 하는 정리를 부정하여 공리의 리스트에 첨가한 다음 도출절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도출 결과 거짓이 나오면 증명하고자 하는 정리가 참임이 증명된다. 다음 중 .. 2017. 7. 3. 인공지능 - [7] 논리에 의한 지식표현 인공지능 - [7] 논리에 의한 지식표현논리학이란 바른 판단과 인식을 얻기 위한 올바른 사유의 형식과 법칙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그 중 형식(기호) 논리학은 추론의 형식적 구조에 중점을 두고 있다. 퍼지 논리는 어떠한 사실의 진리값을 참과 거짓이라는 두 가지의 논리값으로 제한하지 않는 다치 논리의 한 형태로서, 참/거짓이 분명하지 않은 모호한 사실 및 규칙을 기반으로 한 추론을 할 수 있다. 명제논리는 참․거짓을 구분할 수 있는 명제를 기호로 표현하고 이들을 선언, 연언, 부정, 조건명제, 동치 등의 논리 연산자로 연결하여 지식을 표현한다. 명제논리식의 표준형에는 연언표준형과 선언표준형이 있다. 연언표준형은 리터럴(기본명제 또는 기본명제의 부정)들이 논리합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절들이 논리곱으로 연.. 2017. 7. 3.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