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2-1]/knou_[2-1]한국사이해2

한국사의 이해 기말고사 핵심노트 한국사의 이해 기말고사 핵심노트 1-1. p,03-한반도의 구석기는 대략 (70만년)전까지 올라간다. 1-2. p,06-신석기시대는 인류가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면서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고, 이를 신석기혁명이라고도 한다. 1-3. p,12-단군신화는 (삼국유사)에 실려있다. 1-4. p,17-고조선에는 (범금8조)가 있었는데, 3조만 전한다. 1-5. p,23-삼한 단계에서 한반도 전역이 (철기문화) 단계로 진입했다. 2-1. p,32-고구려는 前燕과 우호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었기에, 357년 전연은 고구려 고국원왕을 (책봉)하였다. 2-2. p,36- 신라는 (골품제)라는 독특한 신분제도로 지배층의 권위를 보장하였다. 2-3. p,56- 이차돈 순교비는 어느 종교와 관련이 있는가. 답-불교 2-4. .. 2015. 5. 29.
2015_03한국사의 이해 _ 출석수업 서울을 통해서 본 한국사의 이해 1. 서울의 山과 江 내사산(內四山)-四神(좌청룡?우백호?남주작?북현무) 백악산(白岳山, 342m) - 일명 北岳山. 조선시대에 삼각산신과 백악산신을 모심. 목멱산(木覓山, 265m) - 일명 南山. 태조 이래 꼭대기 동쪽의 국사당(國祀堂, 國師堂)에서 남산신인 목멱대왕을 모시고 제사를 지냄. 그래서 일제는 이곳에 1925년 조선신궁을 세움. 조선신궁에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태양 여신]와 메이지[明治]천황을 신으로 모심. 기존의 국사당은 인왕산으로 이전. 이름도 무학을 위한 개인 사당으로 격하시킴. [그림] 남산 국사당터, 인왕산 국사당과 선바위 일제는 남산 북쪽 기슭과 그 앞 공간(명동과 충무로 일대)에 정치(조선총독부1926?경성부청사1926)-경제(조선은행19.. 2015.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