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4-1]/정보톰신망

정보 통신망 - [제3장] 데이터 통신의 요소

by boolean 2017. 2. 13.
728x90

정보 통신망 - [제3장] 데이터 통신의 요소

개요

컴퓨터 통신망은 단말기, 통신선로, 그리고, 컴퓨터로 구성된 간단한 네트워크로부터 수백

대의 단말기와 수천 km를 연결한 수많은 컴퓨터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네트워크 등 많은 종

류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복잡한 구조를 갖는 컴퓨터 통신망도 자세히 살펴

보면, 작은 규모의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에서는 컴퓨터 통

신망의 구성 요소의 개념들을 하나하나 살펴볼 것이다. 실제 컴퓨터 통신망은 수많은 종류

의 네트워크 장비가 회사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장비에 대하여 하나하나 세부적으로

아는 것보다 컴퓨터 통신망의 각 요소 형태에 대한 기본 원리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

요하다. 이러한 기본 원리를 습득하면 실제 컴퓨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요소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후 장에서 배울 데이터 통신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3.1 전송매체

■ 전송매체의 역할 : 컴퓨터 통신망에서 수신기와 송신기 간의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로

■ 전송매체의 종류

- 하드와이어 매체(hardwired medium) : 꼬임선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 소프트와이어 매체(softwired medium) : 지상 마이크로파, 위성 마이크로파, 라디오파에

서 사용하는 공기·해수·진공

■ 전송매체의 특성과 품질은 매체의 특성과 신호의 특성에 의해서 결정

■ 광섬유의 장점

- 넓은 대역폭 : 전송매체의 잠재적 대역폭이 커서 주파수와 더불어 데이터 전송률이 높음.

① 동축 케이블은 1km 정도의 거리에서 수백 Mbps가 실제 최대 데이터 전송률

② 꼬임선 케이블은 1km에 대해 단지 수 Mbps의 데이터 전송률

③ 광섬유는 광대한 주파수 용량을 가지며 2G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수십 km 범위까지 전

송이 가능

- 작은 크기와 적은 무게 : 꼬임선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의 다발보다 아주 작고, 같은 용

량의 경우는 그 직경이 최소한 그 제곱에 비례해서 작다. 크기에 비해 무게가 적게 나가기

때문에 지지 구조물의 규모를 최소화시켜 줌.

- 적은 감쇠율 : 동축 케이블이나 꼬임선 케이블에 비해서 감쇠율이 낮아 넓은 범위까지

일정한 값을 유지시켜 줌.

- 전자기적인 문제의 최소화 : 외부적 전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간섭, 충격, 잡음,

누화 등에 둔감. 에너지 발산이 거의 없어서 다른 장비에 간섭 현상을 유발시키지 않음.

- 리피터 설치 간격의 확대 : 동축 케이블이나 꼬임선 케이블에서는 일반적으로 5km마다

리피터가 필요하지만 광섬유에서는 50km까지 리피터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이로

인해 리피터 설치 수를 줄일 수 있어서 비용 절감과 오류 유발을 감소시킴.

■ 광섬유의 단점

- 설치 및 관리 : 꼬임선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에 비해 비교적 새로운 기술임. 따라서 광

섬유의 설치와 관리에 보다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

- 단방향 : 빛의 전파는 단방향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양방향 전송이 필요하다면 2개의 섬

유가 필요

- 비용의 증대 : 꼬임선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보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비싸다. 따라서 대

역폭 요구가 높지 않다면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꼬임선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을 사

용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유리

■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 반송파(carrier)로 사용되는 전자파의 주파수

■ 무선주파수의 범위와 용도(교재 3.2.4 표 3.2 참조)

■ 지상 마이크로파

- 지상 마이크로파의 안테나는 포물선 모양의 접시형이고, 대개 직경이 10피트 내외이며

고정되어 있으며, 대부분 고지대에 위치

- 주로 장거리 통신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며, 통상 주파수는 2∼40GHz 내에 있음.

- 감쇠와 간섭 현상으로 전송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 위성 마이크로파

- 원거리 통신을 위해서는 통신위성을 이용하며, 통신위성은 일종의 마이크로파의 중계국

역할을 함.

- 통신위성은 장거리 전화, 텔렉스, 텔레비전에 주로 사용되며, 사용 빈도가 높은 국제 간

의 통신용으로서 가장 좋은 매체

- 위성을 이용하는 무선통신의 최상 주파수 범위는 1∼10GHz

■ 라디오파

- 한 방향을 지향하는 마이크로파와는 달리 다방향성의 특징을 가짐.

- 접시형 안테나가 필요 없으며, 정해진 지점에 설치될 필요가 없음.

- 방송통신용 라디오파의 주파수 범위는 20MHz∼1GHz

- 육지, 물, 자연적·인공적 물체의 반사로 인해 안테나 간에 많은 전송경로를 발생시키는

다중경로 간섭이 일어날 수 있음.

3.2 통신선로

■ 점 대 점 선로

- 통신 네트워크의 기본 요소로, 점 대 점으로 두 단말기를 연결하는 통신선로(교재 3.3.1

그림 3.4 참조)

- 점 대 점 선로를 이용한 대표적인 네트워크 구성은 성형(star) 네트워크임(교재 3.3.1 그

림 3.5 참조).

■ 멀티드롭 선로

- 통신선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2개 이상의 단말기가 하나의 통신선로에 연

결되었을 때의 통신선로(교재 3.3.2 그림 3.6 참조)

- 통신선로를 공유하므로 2개 이상의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선로 상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통신선로에서 충돌이 발생한다. 충돌 방지를 위해 선로제어 프로토콜(line

control protocol)이 필요

3.3 네트워크 형태

■ 성형(star) 네트워크

- 각 단말기가 점 대 점 선로에 의하여 중앙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교재 3.3.1

그림 3.5 참조)

- 성형 네트워크는 중앙컴퓨터에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단점이 있음.

■ 환형(ring) 네트워크

- 여러 컴퓨터들이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형태(교재 3.4 그림 3.7 참조)

- 두 컴퓨터 사이의 통신에는 2개의 경로가 존재하므로 하나의 경로에 고장이 발생하더라

도 다른 하나를 이용할 수 있어 통신이 가능

■ 버스형(bus) 네트워크

- 모든 단말기가 하나의 선로에 연결되어 그 선로를 공용으로 사용하지만 한 순간에 하나

의 단말기만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형태(교재 3.4 그림 3.8 참조)

■ 그물형(mesh) 네트워크

- 많은 단말기들이 서로 간에 많은 양의 통신을 필요로 한다면 모든 단말기가 서로 연결성

을 갖는 그물형 네트워크 형태가 유리(교재 3.4 그림 3.9 참조)

■ 계층형(hierarchical) 네트워크

- 컴퓨터(혹은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능력과 기능에 따라 계층적으로 배치한 네트워크 형

태(교재 3.4 그림 3.10 참조)


3.4 교환 통신망과 데이터 교환방식

■ 교환 통신망의 필요성

- 단말기는 데이터를 비교적 짧은 시간에만 전송하므로 특정 단말기마다 전용선을 갖도록

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비경제적임.

- 교환기(switch)라는 장치들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형으로 구성된 교환 통신망(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교재 3.5 그림 3.11 참조)

- 교환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교환방식은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방식으로 분류됨.

■ 회선 교환

- 이 방식은 단말기 간에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경로 상에 필요한 자원들을 미리 할당하

고,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면 할당된 자원을

해제시킴.

- 이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전화망

- 회선 교환방식의 단계

① 회선 설정(circuit establishment) : 송·수신자 간에 실제 통신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전용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교환기들 사이에 전용 채널을 만듦.

②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 전용회선으로 연결이 설정된 후에 송·수신자 간에 데이터

를 주고받는 단계

③ 회선 해지(circuit disconnect) : 데이터 전송이 모두 완료되어 송·수신자 간에 설정된 연

결을 끊는 단계로서 경로 상에 있는 모든 교환기로 신호를 보내어 회선을 해지시킴.

- 통신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마치 전용선처럼 사용하므

로 데이터의 양이 많고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는 실시간(real time)이나 긴 메시지

전송에 적합

- 회선이 독점적으로 사용되므로 현재 사용 중인 회선은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게 되

어 회선 이용률의 측면에서는 비효율적

■ 패킷 교환

- 이 방식은 회선 교환방식과 달리 송·수신자 간에 전용선을 요구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전

송 데이터 모두가 패킷 형태로 변환되어 전송됨. 여기서 패킷(packet)이란 데이터 비트들의

덩어리를 의미

- 전송 데이터가 여러 개의 패킷 형태로 분할되어 전송되므로 전송매체 상에 여러 사용자

의 패킷이 동시에 전송될 수 있음.

- 단말기 간에 통신회선이 점유되지 않고 여러 패킷에 의해 공유되므로 회선의 이용률이

높음. 전송 실패된 패킷에 대해 재전송 요구가 가능하므로 신뢰성 있는 교환방식임.

- 패킷 교환방식은 경로의 설정 방법에 따라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과 데이터그램

(datagram) 방식으로 구분

■ 가상회선 방식

-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송·수신자 간에 가상회선이라 불리는 논리

적인 경로가 먼저 설정된 후 이 가상회선을 통해 모든 패킷이 전송

- 각 패킷 헤더에는 라우팅 정보로서 가상회선 식별자(Virtual Circuit Identifier, VCI)가

포함되며, 가상회선 식별자는 경로가 설정될 때에 정해지고 패킷이 전송되면서 가상회선 식

별자의 값은 바뀜(교재 3.5.2 그림 3.13, 3.14 참조).

■ 데이터그램 방식

-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이전에 송·수신자 간의 논리적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각 패킷들

이 각기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방식임. 이때 각각의 독립적 패킷을 데이터그램이라고 부름.

- 송·수신자 간의 중간 노드들이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전달경로를 선택한 후 다음 노드를 향해 수신한 패킷을 전달하는 방식에 기반을 함(교재

3.5.2 그림 3.15 참조).

- TCP/IP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의 비교(교재 3.5.2 표 3.3 참조)

■ 메시지 교환

- 이 방식은 회선 교환의 단점인 독점적 회선 사용을 개선시켜 하나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

후 전송(store-and-forward)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임.

- 메시지 교환의 장점

① 메시지의 분할과 재조립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절약

② 메시지의 분할 없이 메시지 단위로 전송하므로 헤더 오버헤드가 패킷 교환보다 적음.

- 메시지 교환의 단점

① 저장 후 전송 방식을 사용하므로 패킷 교환에 비해 전체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

② 전송 시에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메시지를 폐기하고 재전송해야 하므로 대역폭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음.

■ 데이터 교환방식(회선 교환, 메시지 교환,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가상회선 패킷 교환)의

비교(교재 3.5.4 표 3.4 참조)

3.5 다중화기 및 집중화기

■ 다중화기

- 여러 단말기들이 통신선로의 용량을 나누어 쓸 수 있도록 해 주는 투명한 장치. 투명하

다는 의미는 데이터에 어떠한 조작이나 동작도 가하지 않으면서 단말기는 다중화기의 존재

에 상관없이 통신선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의미

- 두 가지 기본 방식으로 시분할 다중화 방식(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과 주파

수 분할 다중화 방식(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이 있음.

■ 시분할 다중화 방식

- 낮은 전송속도를 갖는 여러 대의 단말기가 높은 속도의 하나의 통신선로로 데이터를 전

송하기 위해 사용

- 다중화기로 들어오는 데이터들을 단말기마다 주어진 타임슬롯(time slot)만큼 끼워 넣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높은 속도의 통신선로로 프레임 단위로 전송(교재 3.6.1 그림

3.19 참조)

■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 여러 개의 낮은 속도의 데이터를 각각의 반송파 주파수에 변조(modulation)하여 하나의

통신선로로 보내는 방식(교재 3.6.1 그림 3.20 참조)

- 각 반송파 주파수로 변조된 데이터는 수신측에서 원래 데이터로 추출하기 위해 복조과정

을 수행

- 이 방식의 대표적 예는 AM과 FM 라디오 방송이 있음.

■ 집중화기

- 집중화기를 가진 네트워크(교재 3.6.2 그림 3.21)

- 입력 부분의 비트 속도의 합이 단순히 집중화기의 출력 비트 속도가 되는 것이 아니라,

평균 동작 단말기 수에 따라 달라짐.

- 집중화기는 다중화기보다 유연한 동작처리를 위해 좀 더 많은 지능을 요구하며, 버퍼와

오류검출 기능이 포함되어 있음.

3.6 단말기

■ 단말기의 통신방식으로는 자유통신방식과 제어통신방식이 있음.

- 자유통신방식은 데이터가 입력되자마자 통신선로에 보내지는 방식으로 통신선로당 하나

의 단말기만이 연결되어 있음(교재 3.7.1 그림 3.22 참조).

- 제어통신방식은 단말기가 버퍼를 갖고 있어서 높은 속도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고,

많은 수의 단말기가 통신선로의 용량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음(교재 3.7.1 그림 3.23 참

조).

■ 단말기의 종류

- 단말기는 단순(simple) 단말기, 정교한(sophisticated) 단말기, 지능형(intelligent) 단말

기로 분류

- 세 종류 단말기의 특성(교재 3.7.2 표 3.5 참조)

3.7 변복조기와 인터페이스

■ 베이스밴드 신호

- 짧은 거리의 전송 또는 저속 전송의 경우에는 전송 데이터의 변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통

신선로에 직접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보낼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신호방식이 베이스밴

드(baseband) 신호방식임.

- 송·수신 장치가 간단해지지만 하나의 통신선로에 다수의 신호를 다중화 할 수 없음.

- 왜곡(distortion)에 민감한데, 특히 전송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 장치에서 올바른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는 확률이 현저하게 줄어듦(교재 3.8.1 그림 3.24 참조).

■ 변복조기

-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전화망을 이용할 경우 디지털 신호가 전화선로에서도 잘 전달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어야 하고, 수신측에서는 이 신호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함.

-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 신호에 싣는 것을 변조(modulation)라 하고, 변조된 신호를 원래

의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것을 복조(demodulation)라고 함.

-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장치를 변복조기(MOdulator and DEModulator,

MODEM)라고 함.

- 변복조기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과정(교재 3.8.2 그림 3.26 참조)

3.8 전방처리기

■ 역할 및 위치

- 전방처리기(Front End Processor, FEP)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로 주 컴퓨터 앞

단에 위치하여 주 컴퓨터가 수행하는 통신 기능의 일부를 맡아 수행

객관식 문제

1. 다음 중 하드와이어(softwired) 매체를 사용하는 것은?

① 위성 마이크로파 ② 라디오파 ③ 지상 마이크로파 ④ 광섬유

2. 동축 케이블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광섬유 케이블과 달리 2개의 도체로 구성되며, 광섬유 케이블보다 좁은 주파수 범위를

허용한다.

②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만 사용된다.

③ 아날로그 신호 전송의 경우에는 라디오나 TV 등에서 사용되고, 디지털 신호 전송의 경

우에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고속의 입출력 채널을 위해서 사용된다.

④ 아날로그 신호의 장거리 전송에는 수 km마다 증폭기가 필요하며, 디지털 신호 전송에서

는 대략 1km마다 리피터가 필요하다.

3. 광섬유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단방향 ② 전자기적인 문제의 최소화

③ 적은 감쇠율 ④ 리피터 설치 간격의 확대

4.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위성통신의 장점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많은 통신용량을 제공한다.

② 오류율이 상당히 감소한다.

③ 통신비용이 감소한다.

④ 주파수 분할 방식을 사용하므로 점 대 점 통신만 가능하다.

5. 컴퓨터 통신망의 네트워크 형태에 관련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성형(star) 네트워크는 중앙 컴퓨터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체 기능이 정지한다.

② 그물형(mesh) 네트워크는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통신회선 장애 시 융통성

을 가질 수 있다.

③ 환형(ring) 네트워크는 새로운 노드의 추가가 어렵고 각 노드마다 중계 기능이 있어야

한다.

④ 계층형(hierarchical) 네트워크는 기밀성 유지가 어렵고 통신회선이 짧다.

6. 다음은 다중화 방식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① TDM은 높은 속도의 데이터를 모아 낮은 속도의 채널을 따라 전송되고 다시 원래의 높

은 속도의 데이터로 재생되도록 한다.

② FDM은 낮은 속도의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에 변조하여 통신선로에 보내는 방

법이다.

③ TDM은 라디오 방송의 경우에 사용되는 시스템과 개념적으로 거의 같다.

④ FDM은 컴퓨터 통신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이며 TDM보다 대역폭을 더 효율적

으로 사용할 수 있다.

7. 집중화기가 갖는 기능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코드 변환 ② 전송속도 편환 ③ 데이터 교환 ④ 포맷 변환

8. 다음 중 단말기와 그 특징이 알맞게 연결된 것은?

① 단순 단말기-비동기식 전송, 저장기능 없음, 데이터 압축 기능

② 정교한 단말기-멀티드롭 동작, 자동 오류검출과 정정 기능, 데이터 편집 기능

③ 정교한 단말기-멀티드롭 동작, 동기식/비동기식 전송, 컴퓨팅 기능

④ 지능형 단말기-컴퓨팅 기능, 온라인 저장 기능, 데이터 편집 기능

9. 변복조기에 관련된 서술 중 옳은 것은?

①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 신호에 싣는 것을 변조(modulation), 변조된 파형을 원래의 디지

털 신호로 바꾸는 기능을 복조(demodulation)라고 한다.

② 수백 종의 단말기가 있지만 한 종류의 변복조기를 사용한다.

③ 변복조기 가시의 통신선로는 항상 2선 선로이다.

④ 디지털 신호를 전화기를 통하여 전화선을 따라 전송될 수 있는 음향으로 바꾸어 준다.

10. 다음 중 전방처리기(FEP)에 관한 설명은?

① 단말기 사이에 통신선로의 용량을 나누어 주는 장치이다.

② 디지털 신호를 전화기를 통하여 전화선을 따라 전송될 수 있는 음향으로 바꾸어 준다.

③ 디지털 신호를 반송파 신호에 싣거나 변조된 파형을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기능

을 수행한다.

④ 주 컴퓨터의 통신 기능을 맡아 처리함으로써 주 컴퓨터가 독립적인 일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11. CCITT V.24/RS-232C 규격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① 전방처리기 ② 변복조기 ③ 집중화기 ④ 다중화기

심화학습문제

12. 무선주파수 VHF(Very High Frequency)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FM 라디오 방송, TV 방송, 300~3000MHz의 주파수 범위

② TV 방송, 이동통신에서 사용, 30~300MHz의 주파수 범위

③ 선박, 장거리 통신, 300~3000MHz의 주파수 범위

④ 선박, 항공, 표준방송, 30~300MHz의 주파수 범위

13. 회선 교환방식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 전송 : 연속적인 데이터

② 오버헤드 : 패킷별 오버헤드

③ 전송 대역폭 : 고정적

④ 전송경로 : 점유

14. 다음 중 메시지 교환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정보전송량이 갑자기 많아질 경우에는 저장 기능을 이용하여 혼란을 피할 수 있다.

② 메시지를 복사하여 각각 요청된 목적지로 전송함으로써 1개의 메시지를 동시에 여러 곳

의 단말장치로 보낼 수 있다.

③ 메시지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대화형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된다.

④ 코드와 속도가 다른 단말장치끼리도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다.

15. 평균 동작 단말기 수만큼만 지원하기 위한 통신장비로서 출력의 비트 전송속도가 입력

의 비트 전송속도의 합보다 항상 작은 것은?

① 다중화기 ② 집중화기 ③ 변복조기 ④ 전방처리기

16. 비싼 통신선로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부적절한 것은?

① 버스 네트워크 이용 ② 집중화기 이용

③ 다중화기 이용 ④ 점 대 점 선로 이용

해설 및 정답

1.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간의 물리적 데이터 전송로를 전송매체라고 하며, 꼬

임선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의 하드와이어(hardwired) 매체와 지상 마이크

로파, 위성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등의 소프트와이어(softwired) 매체로 구분됨[교재 3.2 참

조].

정답 ④

2. 동축 케이블은 2개의 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폭넓은 주파수 범위를 갖고 있음.

아날로그와 디지털 전송 모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장거리 전화, TV 전송, 케이블 TV 등에

사용됨. 또한 근거리 통신망에도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기기간 단거리 접속에도 사용됨[교

재 3.2.2 참조].

정답 ④

3. 광섬유의 장점은 넓은 대역폭, 작은 크기와 적은 무게, 적은 감쇠율, 전자기적인 문제의

최소화, 리피터 설치 간격의 확대이며 단점은 설치 및 관리, 단방향, 비용의 증대임[교재

3.2.3 참조].

정답 ①

4.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위성통신의 장점은 많은 통신용량 제공, 오류율의 감소, 통신비용의

감소임. 단점은 장거리에 걸친 통신이므로 대략 수백 ms의 전송 지연, 주파수 분할 방식의

점 대 점 통신, 통신위성이 고장 날 경우 모든 통신선로들의 단절, 혼선 등의 단점이 있음

[교재 3.2.4 (3) 참조].

정답 ④

5. 버스형(bus) 네트워크의 장점은 물리적 구조가 간단하고 노드의 추가와 삭제가 용이함.

단점은 기밀성 유지가 어렵고 통신회선 길이의 제한임[교재 3.4 참조].

정답 ④

6. TDM은 낮은 속도의 데이터를 모아 높은 속도의 채널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네

트워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임. FDM은 여러 개의 낮은 속도의 데이터를 각기 다른

주파수에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AM과 FM 라디오 방송에서 사용됨[교재 3.6.1 참

조].

정답 ②

7. 집중화기는 주 컴퓨터가 서로 다른 제조업자에 의해 공급되는 단말기들과 통신할 때 필

요하며, 호환성 제공을 위해 속도, 코드, 포맷 변환을 수행함. 입력 데이터의 양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버퍼가 필요하며, 오류검출 기능을 갖는 것도 있음[교재 3.6.2 참조].

정답 ③

8. 지능형 단말기는 정교한 단말기의 특성 외에 컴퓨팅 기능, 온라인 저장 기능, 데이터 편

집(editing) 기능, 데이터 압축(compression) 기능, 형식(form)이나 사용자의 급한 메시지

의 일시적 저장 기능이 추가됨[교재 3.7.2 표 3.5 참조]

정답 ④

9.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장치를 변복조기(MOdulator and DEModulator,

MODEM)라고 함. 전세계적으로 수백 종의 단말기가 있고 여러 종류의 변복조기가 존재함.

변복조기 사이의 통신선로는 2선 선로일 수 있고 4선 선로일 수도 있음[교재 3.8.2 참조].

정답 ①

10. 전방처리기(Front End Processor, FEP)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주 컴퓨터 앞단에

위치하며, 통신에 관련된 일을 담당함[교재 3.9 참조].

정답 ④

11. CCITT V.24/RS-232C는 이종의 단말기들 사이에 호환성을 제공해 주는 일종의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임. 이 규격은 변복조기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데 필요한 선의 개수와 전기

적 신호 및 신호 계층을 정의하고 있음[교재 3.8.2 참조].

정답 ②

12. 무선주파수 VHF(Very High Frequency)는 30~300MHz의 주파수 범위, FM 라디오 방

송, TV 방송, 이동통신에서 사용됨[교재 3.2.4 표 3.2 참조].

정답 ②

13. 회선 교환방식의 데이터의 전송은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경로는 점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 전송 대역폭은 고정적이며, 오버헤드는 경로설정 후 없는 등의 특징이 있음[교재

3.5.2 표 3.3 참조].

정답 ②

14. 메시지 교환은 회선 교환의 단점인 독점적 회선 사용을 개선시켜, 하나의 메시지 단위

로 저장 후 전송(store-and-forward)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심임. 데이터 전송

동안 각 교환기에는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통신 또는 대화식 통신에는 적

합하지 않음[교재 3.5.3 참조].

정답 ③

15. 집중화기에 달린 단말기들은 항상 동작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입력 부분의 비트 속도

의 합이 집중화기 출력의 비트 속도가 되는 것은 아님. 따라서 집중화기 출력의 비트 속도

는 입력 비트 속도의 합보다 항상 작음[교재 3.6.2 그림 3.21 참조].

정답 ②

16. 점대점 선로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네트워크 구성은 성형 네트워크임. 성형 네트워크는

단말기들이 통신선로를 공유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통신선로의 비용이 다른 네트워크 구성

방식에 비해 높은 편임[교재 3.3.1 참조]. 다중화기와 집중화기 또한 비싼 통신선로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임[교재 3.6 참조].

정답 ④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