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실주의,비 내러티브 | 형식주의 ,내러티브 | 비고 | |
뤼미에르형제 보여주는 영화 |
멜리에스 이야기 중심의 영화 |
비고 | |
요즘 영화들은 볼거리도 제공하고 이야기거리도 제공하고 있으나 영화의 성향이 볼거리에 촛점을 마추고 있는지 이야기거리에 촛점을 마추고 있는지 구분하여 볼 필요가 있다. |
|||
리들리 스콧(2000)『글레디에이터』 CG로 제현된 로마의 콜로세움 웅장한 볼거리로 보여주는 영화의 시대를 다시 열었다는 평가를 받음. 하지만 여전히 내러티브 영화로 분류되는 이유 -볼거리들을 한곳으로 묶어주는 스토리, 플롯 ->내러티브 존재 73 회 아카데미상 5개 부문 수상 볼거리 중심의 영화라도 스토리가 있어야 효과적으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
|||
이창동(1999)-『박하사탕』 스토리를 플롯의 형식으로 전개하며 한개인의 삶에 80년대 사회가 미친 영향을 극적으로 보여줌 |
|||
쿠엔틴 타란티노()-『킬빌 Vol.1』 1편은 복수의 서막으로 복수의 발단과 전개를 다룸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영화들은 영화형식의 새로움과 낯섬을 보여주는 독특한 플롯으로 관객들을 매혹 |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1972)-『대부』 |
|||
장르영화 |
이야기로 부터 출발한 특정 체계로 주제, 양식, 극적구성,분위기등이 유사해 관객이 그 영화에 대해 알지 못하더라도 익숙하게 받아들일수 있음 | ||
독립영화 |
특정한 제작 배급망을 벗어나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영화 세상의 다양한 단면들을 엿볼 수 있음 배용균(1988)-『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대학미술교수인 감독이 기획,제작,각본,연출,촬영,편집등 전 과정을 혼자 처로항으로써 한국 영화계에 충격을 던저준 작품 스토리중심의 다른 영화와는 달리 구도의 과정을 정적이면서도 회화적인 화면과 상징적인 묘사로 보여줌 제42 회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영화' 부문에 선정 제42 회 스위스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 그랑프라 수상 |
||
하위문화와 영화 |
사회가 다양화되면서 문화 속의 문화라고 할 수 있는 하위문화 출현 지배문화 고급문화 또는 지배적인 대중문화와 대립되거나 구별되는 문화로 볼 수 있음 하위문화가 필요한 이유:하위문화는 문화의 획일화를 막아주고, 전체 문화에 새로운 에너지와 영감을 불어 넣어줌 하위문화가 사회에 미치는영향: 하위문화의 영화는 관객이 자신을 표현하고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가 됨 ex) 청소년,노년층,로큰롤 문화 등등.... 하위문화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영화 하위문화는 창조적인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소재적 기반 - 세대적인 구성, 특정 직업단의 문화, 특정 지역에 관련 된 문제등 강영철(2011)『써니』 청년세대 관련된 문화 대니보일(1996) -『트레인 포스팅』스코틀렌드 가난한아이들 배경 하위문화에 표현으로 끝나지 않고 지배적인 전체 문화에 새로운 자극과 영향을 주기도 한다. |
하위문화를 자극하고 유발하는영화v 짐 셔먼(1975)『로키 호러 픽처 쇼』 등의 컬트적인 영화 영화를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새로운 의미를 찾게 만들며 생산에 관여하게 만드는 효과 -수용층을 매니악하게 만들어 냄 오위선(1986)『영웅본색』 우리나라에 홍콩누아르 선풍 일으킴 컬트문화 |
|
패러디 | 다른 영화의 특정장면을 내 영화속 한 장면으로 연결시키는 형식적 특성 공유 | 기성작품의 내용, 스타일의 모방을 통한 풍자와 해학, 비판정신에 초점 새롭게 창조 | 샘 레이미(1982)『이블데드』- 자신의 영화 패러디(감독 본인이 구축한 장르적 관습을 파괴하며 풍자와 해학
정신을 보여줌 리들리 스콧(1979)『에이리언1』 SF공포영화의 새장을 염 현란한 영상미를 추구한 공포영화 제임스 캐머런(1986)『에이리언2』 촘촘히 안배된 연출로 완성도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액션영화 데이빗 핀처(1992)『에이리언3』 스피드에 주력 장피에르 주네(1997)『에이리언4』 독특한 상상력을 발휘해 온 감독의 특징이 엿보임 같은 소재의 서로 다른 장르적 활용, 관습과 규칙의 새로운 해석과 재해석을 패러디 시리즈로 평가할 수 있음 |
패스터시 | 혼성모방으로 단순한 짜집기, 단순한 모방에 그치는 경우가 많음 | 『총알을 탄 사나이』,『못말리는 비행사』,장규성(2002)『재밋는영화』 | |
오마주 | 존경,경의 를 뜾하는 말 자신의 작품에서 다른 누군가의 작품속 장면을 차용함으로써 그 감독 및 영화에 대한 존경을 표현하는 것 |
브라이언 드 팔마 『레스트 투킬』 히치콕 감독의 『싸이코』 욕실 사건 장면을 그대로 인용 하며 존경 표현 |
|
컬트 영화 | 특정한 집단에 의해 영광적인 지지를 받은 영화 관객들에게 새로운 시선으로 영화와 세상을 보게 하는 기회제공 | 주요영화 | |
스토리 | 어떤 사물이나 사건, 현상에 대해서 일정한 내용을 가지고 하는 말 시간적 순서로 구성된 이야기구조 (ex:한사람의 연대기) |
원래자리로 | |
플롯 | 사건을 인과 관계에 따라 필연성 있게 엮는 방식. 영화의 영상을 통해 시청각적으로 표현된 사건의 질서 플롯의 방법에 따라 주제의 전달 강도와 극적 긴장감이 달라짐 |
원래자리로 | |
5개부문 | 의상,음향,시각효과상,작품상,남우주연상 | 원래자리로 | |
내러티브 | 스토리나 플롯 구조 뿐만 아니라 관찰자의 시점, 서술자와 이야기 세계의 주인공, 사건들과의 관계 등으로 이루어짐 스토리나 플롯을 단순히 포함하는 것 만이 아닌, 플롯의 전략,시간과 공간의 재구성,미장센,음향효과,카메라 기술 그 모든 것 을 포함. |
원래자리로 | |
문화 | 한 사회의 개인이나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 정신적 과정의 산물 한 사회의 문화는 어느정도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
원래자리로 | |
컬트 | 특정한 집단이 어떤 문화현상에 대해 열렬한 반응을 보이는것 시간적 순서로 구성된 이야기구조 (ex:한사람의 연대기) |
원래자리로 |
'컴퓨터과학[1-2] > knou_대중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영화의 이해 8영상 _ 영화산업 (0) | 2014.09.29 |
---|---|
대중영화의 이해 7영상 _ 영화의 제작 (0) | 2014.09.18 |
대중영화의 이해 과제물 (0) | 2014.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