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신기술동향

정보처리기사 실기 - 신기술동향 TTA[2016-3]

by boolean 2017. 4. 15.
728x90

정보처리기사 실기 - 신기술동향 TTA[2016-3]

빈칸 드레그하면 답이 보여요

[4D 프린팅fourth dimension printing, 4D printing]

환경 반응 입체 프린팅, 미리 설계된 시간이나 임의 환경 조건이 충족되면 스스로 모양을 변경 또는 제조하여 새로운 형태로 바뀌는 제품(object)을 3D 프린팅하는 기술.

4D 프린팅을 위해서 온도, 습도, 진동 등 에너지에서 자극을 받으면 모양이 변하는 스마트 소재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물을 만나면 팽창되는 나무를 소재로 하는 입체 프린터(3D printer)로 코끼리 모양의 평면 설계도를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된 설계도를 물에 넣으면 저절로 입체 코끼리 모양으로 바뀐다. 4D 프린팅 기술은 2013년 테드(TED: Technology, Entertainment, Design) 강연에서 미국 MIT 자가조립연구소 스카일러 티빗츠(Skylar Tibbits) 교수에 의해 소개되었다. 4D 프린팅은 의료, 의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 여기서, 4D(4th dimension)는 수학·물리의 4차원(4D: four-dimensional space)과 다르다.

[C형 유에스비, -形-Universal Serial Bus Type-C, USB Type-C, USB-C]

기기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에스비(USB) 케이블 단자의 위아래가 동일한 24핀의 유에스비(USB).

USB 규격을 제정하는 USB-IF(USB Implementers Forum)에 의해 2014년 USB Type-C 규격(1.0 버전)이 발표되었다. C형 USB(USB Type-C)는 단자 위아래 구분 없이 어느 쪽으로든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특징은 초당 최대 10 기가비트(Gbps) 빠른 속도를 제공하고, 최대 100 W의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 없이 스마트폰과 프린터를 USB Type-C만으로 연결하여 사진을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USB Type-C를 지원하는 기기나 어댑터를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개체명 인식, 個體名認識Named-Entity Recognition, NER]

미리 정의해 둔 사람, 회사, 장소, 시간, 단위 등에 해당하는 단어(개체명)를 문서에서 인식하여 추출 분류하는 기법.

추출된 개체명은 인명(person), 지명(location), 기관명(organization), 시간(time) 등으로 분류된다. 개체명 인식(NER)은 정보 추출을 목적으로 시작되어 자연어 처리, 정보 검색 등에 사용된다.

※ 예: 철수[인명]는 서울역[지명]에서 영희[인명]와 10시[시간]에 만나기로 약속하였다.

[국제 해저 케이블 통합 관제 센터, 國際海底-統合管制-Submarine Network Operation Center, SNOC]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해저 통신망을 통합 관제하는 곳.

KT에서 운용하며 2016년 6월 부산 송정에 개소되었다. 국제 해저 케이블 통합 관제 센터(SNOC)는 초고선명(UHD) 방송 데이터 로밍과 5G 망 계통의 대량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KT에서 기존 운용하는 국제 해저 케이블과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을 연결하는 아시아 태평양 게이트웨이(APG: Asia Pacific Gateway) 해저 케이블과 태평양 횡단에 새로 구축되는 14,000 km의 태평양 횡단 새 해저 케이블(NCP: New Cross Pacific cable system)의 운용부터 위기 대응까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아시아 태평양 게이트웨이(APG)의 초당 38.4 테라비트(Tbps)의 전송 용량과 태평양 횡단 새 해저 케이블(NCP)의 초당 80 테라비트(Tbps)의 전송 용량을 합한 초당 118.4 테라비트(Tbps)의 전송 용량을 관리한다.

[굿풋goodput]

데이터 통신에서 단위 시간당 실질적으로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수.

굿풋(goodput)은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의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대상으로 하여, 데이터 패킷의 오버헤드(overhead)와 재전송된 데이터 패킷은 제외하고 측정한다. 반대로, 단위 시간당 처리되지 못하고 손실된 사용자 데이터 수는 배드풋(badput)이라 한다.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은 굿풋(goodput)과 배드풋(badput)의 합으로 계산된다.

[다크 데이터dark data]

정보를 수집한 후, 저장만 하고 분석에 활용하고 있지 않는 다량의 데이터.

다크 데이터는 처리되지 않은 채 미래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삭제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어, 저장 공간만 차지하고 보안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다크 웹dark web]

일반 인터넷 검색 엔진에서 검색되지 않고, 특정 환경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만 접속되는 웹사이트.

다크 웹은 심층 웹(deep web)보다 접근이 더 어렵다. 다크 웹에서는 비트코인 불법 거래, 랜섬웨어를 이용한 돈 요구 등 사이버 범죄가 발생되기도 한다.


[단거리 무선망, 短距離無線網 [개정]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동의어)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


사용자 주변의 수 미터(m) 이내의 거리에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망.

IEEE 802.15에서 표준을 제정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 IPv6(6LoWPAN) 등이 있다.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對話型使用者-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CUI (동의어) 대화형 UI]


모바일 단말이나 개인용 컴퓨터(PC)가 사용자의 생체, 언어, 몸짓을 이해하여 사용자의 언어로 대화를 하면서 동작하는 지능형(intelligent)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사용자와 기기 사이에 서로 작용하는 인터페이스로 초기에는 키보드로 명령을 입력하는 문자 방식 사용자 인터페이스(CUI: character-based UI), 그 뒤 화면에 그래픽스를 사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거쳐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엔유아이(NUI: Natural UI)로 진화하였다. 대화형 UI는 인공 지능,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생체 인식 등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PC, 스마트폰, 자동차, 스마트 가전 기기 등 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로, 사용자 음성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가상 비서(IPA: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애플리케이션은 특히 스마트폰에서 중국 문자 사용자들의 한자 입력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대화형 UI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과학 기술 잡지인 MIT 테크놀로지 리뷰(MIT Technology Review)에서 2016년 미래 사물 인터넷(IoT)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로 선정되었다.

[데이터베이스 분할, -分割database partitioning]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여러 개로 나누어 저장하는 것.

데이터가 분리·저장되어 데이터 조회 시간이 줄어들고 백업, 복구 등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관리에 효율적이다. 데이터베이스 분할 방법으로 하나의 테이블을 행(rows) 단위로 나누어 두 개 이상의 테이블로 분할하는 수평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과 테이블을 열(column) 단위로 분리하여 작게 여러 테이블을 만드는 수직 분할(vertical

partitioning)이 있다. 수평 분할은 하나의 테이블에 데이터가 너무 많아 특정 범위나 분류 등을 기준으로 분리하는 경우 사용한다. 그리고 수직 분할은 특정한 열의 크기가 크거나, 또는 특정 열이 자주 조회 또는 갱신되는 등의 경우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 샤딩database sharding]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수평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하여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곳에 분산 저장 및 조회하는 것.

수평 분할된 1개의 테이블을 샤드(shard)라고 한다. 샤딩은 한 곳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여러 샤드에 중복 저장하거나, 하나에만 저장할 수도 있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 모델.

제너럴 일렉트릭(GE: General Electric)에서 만든 개념이다.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자산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모의실험(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현재 상태, 생산성, 동작 시나리오,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에너지, 항공, 헬스케어, 자동차, 국방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을 이용하여 자산 최적화, 돌발 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로봇(robot)과 자문가(advisor)의 합성어로, 사람이 아닌 인공 지능 시스템이 개인의 자산 운용을 자문 및 관리하는 온라인 금융 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과 빅데이터 솔루션 등을 기반으로 금융 시장 현황과 고객의 재정 상황, 투자 성향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고객에 맞는 자산 운용 방법 등을 자문해 준다.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자문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미국에서 2014년 처음 도입되었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發光-MicroLED, μLED (동의어) 마이크로엘이디]


일반 발광 다이오드(LED) 칩 보다 길이가 10분의 1, 면적은 100분의 1 정도로 10 ~ 100 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초소형 LED.

마이크로엘이디(μLED)는 기존 LED에 비해 반응 속도가 빠르고, 낮은 전력, 높은 휘도를 지원하며,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 휘어질 때 깨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초경량 무게를 필요로 하는 스마트워치, 스마트 섬유,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기기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단독으로 실행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작은 단위(모듈)로 기능을 분해하여 서비스 하는 아키텍처.

작은 단위로 기능을 분할할 때 수평 방향의 계층별 절단이 아니라, 수직 방향의 기능별로 절단한다. 절단된 독립적인 작은 모듈을 마이크로서비스라 한다.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공유나 프로세스 간 통신이 없이도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운영 관리된다. 마이크로서비스 간 연결은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Service)를 이용한다. 마이크로서비스는 자원 표현이나 데이터 관리 등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완전해야 한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레고 블록을 조립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사용으로 개발자들이 클라우드 망을 통해 공유하고 협업하여 자유롭게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으며, 개발 및 유지보수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단일 서비스로 개발하는 기존 모놀리식(monolithic) 방식과는 반대되며,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방식보다 더 세분화되어 있다.

[면허 기반 주파수 공동 사용, 免許基盤周波數共同使用License Shared Access, LSA]

1차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이나 지역에서 1차 사용자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 조건으로 면허를 받은 신규 사용자가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파수 공동 사용 방식.

신규 LSA 면허권자(LSA Licensee)는 1차 면허 사용자와의 계약에 의해 공동 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주파수 공동 사용 체계에서 정의한 이용 조건 준수 시,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지역 범위에서 주파수 공동 사용이 가능하다.

(※ 주파수 공동 사용 체계(Spectrum Sharing Framework) : 주파수 규제 및 관리, 정책관련 기관에 의해 만들어지며, LSA 기반 주파수 공동사용의 규정 및 이용조건에 대한 내용을 정의)

LSA 기반의 주파수 공동 사용 체계에서 LSA 면허권자는 일정 수준의 서비스 품질 보장이 가능하며,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 측면에서 기존 면허 체계 서비스의 상호 보완적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차 면허 사용자는 특별한 변화 요인이 필요하지 않으며, LSA 면허권자는 공동 사용 대역에서 배타적 주파수 사용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다.

퀄컴(Qualcomm)사가 2011년 ECC WG FM(Working Group for Frequency Management) 회의에서 ASA(Authorized Shared Access)라는 이름으로 처음 소개하였으나 2013년 9월 ECC 회의에서 LSA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이후 FM 52에서 2.3GHz 대역 주파수 조화방안 및 LSA 운용규정을 주도적으로 개발하였으며, ‘13년 11월 LSA에 대한 RSPG Opinion(RSPG13-538)이 승인되면서 LSA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RSPG(Radio Spectrum Policy Group) : 유럽 내 전파 스펙트럼(Radio Spectrum) 정책 개발에 대한 유럽위원회의 최상위 자문그룹)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개정]Mobile Cloud Computing, MCC (동의어) 모바일 클라우]


클라우드 서비스 소비자와 파트너의 모바일 기기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바일 기기들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구성하여 기기 간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기기의 기종이나 운영 체제(OS)에 상관없이 기기 간 정보를 공유하고, 모바일 앱, 스토리지 등의 클라우드 ICT 자원을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성과 모바일의 이동성이 결합되어 비즈니스 시너지를 높일 수 있다.

[무선 미터버스, 無線-Wireless Meter-bus, WM-bus무선 M-bus]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원격 검침을 위한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 또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에 사용되는 무선 프로토콜.

WM-bus는 유럽 표준(EN 13757-4)에 정의되어 있다. 서브-기가헤르츠 대역(sub-GHz)(868MHz, 433MHz, 169MHz)을 사용하며, 데이터 통신의 오버헤드가 매우 적고 배터리 수명을 최장20년까지 지속시킨다.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MC]

업무 수행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필수 불가결한) 요소.

미션 크리티컬 요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거나 파괴되면 업무수행 전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조직이나 사회에 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online) 비즈니스 회사의 통신 시스템이나 재난 통신망, 항공기 운항의 관제 시스템, 그리고 IT 정보 제공 회사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이 이에 해당된다. 미션 크리티컬 시스템은 완벽한 동작을 위하여 보안시스템도 철저하게 갖추어야 한다.

미션 크리티컬 푸시투토크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MCPTT]

공공 안전을 위한 엘티이(LTE) 이동통신망 기반의 푸시투토크(PTT) 서비스.

MCPTT는 공공 안전을 위해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으로 단말기 간 개별, 그룹 및 비상통화, 원격에 있는 특정 사용자 단말의 주변 소리를 임의로 청취, 긴급 상황 시 운영센터에서 강제적으로 통화를 재발신하는 기능 등이 있다. 2016년 3GPP 릴리즈 13에 처음으로 포함되어 표준화되었다.

[버퍼블로트bufferbloat]

통신망에서 패킷 전송 시간이 버퍼로 인해 예상보다 오래 지연되는 현상.

전송 중에 패킷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우터, 와이파이(Wi-Fi) 공유기 등 각 노드의 네트워크 버퍼(큐)의 크기가 크게 확장되었다. 이로 인하여 응답 문자(ACK: acknowledgement) 신호와 같이 작은 크기의 패킷이 버퍼에 갇혀 전송되지 못하는 버퍼블로트 현상이 발생된다.

[브레드크럼즈breadcrumbs]

프로그램, 문서, 웹사이트 등에서 사용자의 탐색 경로를 시각적으로 제공해 주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사용자가 복잡하게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계층적 탐색 경로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등 편의를 제공한다. 예로, 전자상거래 경우 로그인, 쇼핑, 주문, 배송 정보 입력, 결제 정보 입력, 결제 완료 과정에 유용하다.

브레드크럼즈(breadcrumbs)는 헨젤과 그레텔 동화에서 자취를 남기기 위해 떨어뜨린 빵부스러기에서 이름을 인용하였다.

※ 웹사이트 브레드크럼즈 예제 : Home / 자료마당 / 간행물 / 연구보고서

[사이버 물리 시스템, -物理- [개정]Cyber-Physical Systems, CPS]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s),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및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시스템을 결합 설계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s)이 진화되고 있는 시스템을 의미.

현실 세계의 다양한 물리, 화학 및 기계공학적 시스템(physical systems)을 컴퓨터와 네트워크(cyber systems)를 통해 자율적, 지능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크게 연산(computation), 통신(communication), 제어(control) 기술로 구성되며, 대규모 융‧복합 시스템(system of systems) 구축을 위한 여러 전문 분야가 관련된 다학제적(多學際的,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이다.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자동차, 항공, 국방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된다.

[산업 인터넷, 産業-industrial internet]

제조 공장, 의료, 철도, 전력 등 산업 현장 전반에 사용되는 인터넷.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솔루션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함으로써 정확하고 빠른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스템 운영 관리 최적화, 그리고 고객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용어는 제너럴 일렉트릭(GE)에서 만들었다.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正義技術Software-Defined Everything, SDE, SDx]

다양한 소프트웨어 정의(Software-Defined) 관련 기술을 하나로 통칭하여 부르는 용어.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E)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에서 시작되어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SDS: Software-Defined Storage),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팅(SDC: Software-Defined Computing),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SDDC: Software-Defined Data Center)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통신망, 데이터 센터 등이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을 통하여 가상화됨에 따라 지능화된 소프트웨어로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서비스로서 제공된다.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 설비,네트워크 운용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유연성(agility)과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등 효율적인 운영 관리를 할 수 있다. 반면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 -定義-Software-Defined Data Center, SDDC]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이 가상화되어 서비스되고, 사람의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자동 제어 관리되는 데이터 센터.

SDDC는 데이터 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 대두되었다. 따라서 특정 하드웨어와 상관없이 독립적이고, 실제 물리적 환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관리 등을 모두 소프트웨어로 정의하여 데이터 센터를 구성·관리한다. 즉, 소프트웨어 정의 컴퓨팅(SDC: Software-Defined Computing),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SDS: Software-Defined Storage), 소프트웨어 정의 시설 관리(SDF: Software Defined Facilities) 기술이 활용된다.

[스레드 프로토콜Thread protocol, Thread(동의어) 스레드 통신 규약]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 IPv6(6LoWPAN)을 기반으로 하여 댁내 도어록, 전구, 온도 조절기, 세탁기 등 스마트 홈 기기 간의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는 무선 프로토콜.

스레드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스레드 그룹(Thread Group)에서 개발되었다. 스레드 그룹은 구글(Google)사의 주도로 20014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구글(Google)의 네스트랩스(Nest Labs), 프리스케일(Freescale) 반도체 제조사, 암 홀딩스(ARM Holdings), 퀄컴(Qualcomm), 삼성 등이 참여한다. 스레드의 주요 특징은 128 비트 주소 체계인 IP 버전 6(IPv6)를 기반으로 하며,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인 지그비(Zigbee)의 전력 기능과 고급 암호 표준(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를 적용하여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것 등이다. 네스트 랩스(Nest Labs)사의 도어락과 온도 조절기 제품 등에 스레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사용되었다.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동의어) 지능형 공장, 스마트 팩토리]

설계·개발, 제조, 유통·물류 등 생산 전체 과정에 정보 통신 기술(ICT)를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공장.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를 이용하여 실제와 똑같이 제품 설계 및 개발을 모의 실험하여 자산을 최적화하고, 공장 내 설비와 기기 간에 사물 인터넷(IoT)을 설치하여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돌발 사고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제품 위치, 재고량 등을 자동 감지하여 인적·물적 자원 절감 등 공장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스마트 데이터smart data]

실제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

스마트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단순 수집된 빅데이터에서 정확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조직에서 바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게 신속하게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스마트 데이터는 ‘정확(accurate)’, ’실행 가능(actionable)’, 신속(agile)’ 특성을 갖는다.

[스마트 도시smart city(동의어) 스마트 시티]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 빅데이터 솔루션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하여 도시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시민에게 안전하고 윤택한 삶을 제공하는 도시.

도로, 항만, 수도, 전기, 학교 등 도시의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공 데이터를 수집·활용하여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 시티는 기존 유-시티(u-city)와 유사하지만, 사물 인터넷(IoT)과 인공 지능(AI) 기술이 결합된 차세대 개념이다.

[시민 해킹, 市民-civic hacking(동의어) 시빅 해킹]

인터넷상에 ICT 개발자 등 다양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사회 공공 문제를 ICT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취득해 창의적으로 해결하려는 활동.

시민 해킹은 크게 주로 정부가 공개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열린 정부 부문과 시민들이 직접 정보를 교류하는 공동체 활동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시민 해킹을 통해 도시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 정부가 하는 일을 도울 수 있다. 시민 해킹 운동은 2009년 미국의 시민 단체인 코드 포 아메리카(Code for America)에서 시작되어 멕시코,

일본 등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단체로 코드나무(codenamu.org), 코드포서울(codeforseoul.org) 등이 있다. 시민 해킹의 대표적인 사례로 2011년 미국 동부 폭설이 내렸을 때 구글 지도 위에 소화전 위치를 표시하여 시민이 소화기를 가져갈 수 있도록 만든 ‘소화전 입양하기’라는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아시아 태평양 게이트웨이, 亞細亞太平洋-Asia Pacific Gateway, APG(동의어) 아시아 태평양 광케이블 관문]

한국,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연결하는 해저 광케이블.

아시아 태평양 게이트웨이(APG) 해저 광케이블은 총길이 1만4백 킬로미터(km)이며, 전송 용량이 초당 38.4 테라비트(Tbps)이다. 2009년 APG 컨소시엄이 발족되었으며, 8개국의 12개 통신사업자들(차이나 모바일, 페이스북, NTT 등)이 참여한다. 우리나라는 KT가 참여하고 APG 총괄 운영을 한다.

[안시 루멘 [개정]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lumen, ANSI lumen]

프로젝터 투사의 밝기를 나타내기 위해 미국 표준 협회(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표준에서 제시한 휘도 측정 단위.

스크린에 프로젝터가 투사하는 백색 화면을 9개의 동일한 사각형으로 분할하여 각 사각형 중심점의 밝기를 평균을 낸 후, 화면 크기를 반영하여 안시 루멘 값으로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실내에서는 400 안시 루멘, 일반 가정은 600~1,000 정도가 사용되며, 강당 같은 넓은 공간에서는 2,000 이상이 필요하다.

안시 루멘을 기술한 ANSI 표준(ANSI/NAPM IT7.228-1997과 ANSI/PIMA IT7.227-1998)은 2003년 폐지되었다. 안시 루멘과 거의 동일한 내용이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의 표준(IEC 61947-1과 IEC 61947-2) 내 프로젝터 밝기 측정 방법에 기술되어 있다.

[애그노스틱 기술, -技術agnostic technology]

작동 시스템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더라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예를 들어, 플랫폼 애그노스틱(platform-agnostic) 소프트웨어 기술은 어떠한 운영 체제나 프로세서의 조합인지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더라도 상관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장치 애그노스틱(device-agnostic) 소프트웨어 기술은 데스크톱, 랩톱,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어떠한 장치인지에 대한 아무런 지식이 없더라도 상관없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을 의미한다.

[암호 키 분배, 暗號-分配 [개정]key distribution]

통신망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해 특정 사용자(들)에게 암호 키를 전송하는 기술.

송수신 데이터에 암호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간에 키 공유를 위해 사용된다. 이 기술을 통해 각 사용자에게 분배된 암호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의 공유 비밀 키를 계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양자 암호 키 분배, 量子暗號-分配Quantum Key Distribution, QKD]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 키를 분배·관리하는 기술.

보안이 필요한 두 시스템에 양자 암호 키 분배(QKD) 시스템을 설치ㆍ운용함으로써, 두 시스템은 암호 알고리즘 동작에 필요한 비밀 키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다. 양자 키 분배를 위해 얽힘 상태 광자 쌍을 이용하거나, 단일 광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양자 역학, 量子力學quantum mechanics]

양자 레벨(atomic and subatomic level)의 물질과 에너지(matter and energy)의 본질(nature)과 습성(behavior)을 밝히는 현대 물리학의 한 분야.

[양자 정보 과학, 量子情報科學 [개정]Quantum Information Science, QIS]

양자 효과(quantum effect)에 종속되는 정보 과학의 연구 분야. 즉, 양자 정보(quantum information, state of photon)의 연구 분야로 양자 컴퓨터, 양자 통신 등의 기초 과학이다.

양자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에너지의 최소량의 단위로 중첩(superposition) 가능, 복제 불가능, 얽힘(entanglement) 상태 유지, 원격 전송 등의 특성이 있다. 양자 정보 과학(QIS)은 이런 양자의 특성을 활용한 양자 암호 통신, 양자 컴퓨터, 양자 통신 등의 분야를 포함한다. 양자 암호 통신은 양자의 복제 불능 특성을 이용하여 완벽한 보안 통신 구현이 가능하고, 양자 컴퓨터는 초고속 연산이 가능하여 기존 PC에서 100만 년 걸릴 연산을 10분 내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양자 통신의 경우도 묶음 단위 정보 전송으로 현재의 광통신보다 100만 배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자 통신, 量子通信quantum communication]

안전한 통신을 위해 양자 역학적 특성을 이용한 양자 암호(quantum cryptography)의 양자 암호 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기술로 물리적 입자의 전달이 아닌 큐비트(qubit)를 전송(quantum teleportation)하는 기술.

양자 상태(quantum states)에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하여 공격자가 도청을 위해 양자 상태를 측정하는 순간 양자 상태 자체가 변화된다. 따라서 수신자는 데이터에 대한 도청 시도를 파악하고 수신된 정보를 폐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자 상태에 기록된 정보는 근본적으로 도청이 불가능하다.

양자 통신 채널은 중간에 증폭기가 없는 순수 광섬유로만 연결된 채널로서 현재는 거리에 제약이 있다.

[위치 측정 및 동시 지도화, 位置測定-同時地圖化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로봇이 임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주변을 탐색하고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동시에 지도를 작성하는 것. 주로 카메라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자율 주행 자동차, 무인 항공기(드론), 무인 청소기 등에서 SLAM을 활용할 수 있다.

[은닉 마르코프 모델, 隱匿- [개정]Hidden Markov Model, HMM]

상태(state) 정보가 은닉된 통계적 마르코프 모델.

기본 마르코프 모델에서는 시간(t)에 따른 상태(state) 정보가 관찰되나,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에서는 상태(state) 정보가 숨겨져 있고 출력(output)된 정보만 관찰된다. 따라서 출력된 정보만을 가지고 숨겨진 상태(state) 정보를 추정한다.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은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몸짓 인식(gesture recognition) 등과 같이 대량으로 출력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패턴 분석하여 입력된 정보를 추론하는 데에 응용된다. 예로, 음성 인식 분야에서는 주어진 음성의 문자열(은닉 상태)을 찾기 위해 음성 신호의 변동을 확률 변수로 취급하여 입력 음성의 흔들림 등이 잘 분석된다.

[이중 정보기술, 二重情報技術Bimodal IT(동의어) 바이모달 IT]

기업에서 제품 및 서비스 수요의 급격한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정보기술(IT) 전략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을 일컫는 용어.

2014년 가트너(Gartner)에서 기업의 IT 조직 모델로 제시하였다. 바이모달 IT는 기존의 순차적이고 안정성과 정확성을 추구하는 IT 전략과 실험적이고 비선형이며 민첩하게 대응을 추구하는 신속 IT 전략으로 방향성이 다른 두 모드로 구성된다. 즉, 기존의 IT 모드로 내부 시스템에 안정성을 구축함과 동시에 신속 IT 모드로 빠르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IT 부서에 안정적인 정보기술팀과 신속대응 정보기술팀으로 나누어 상황에 따라 팀을 운영하며 시장 대응할 수 있다.

[입체각, 立體角solid angle]

3차원(3D) 공간상에서 2차원(2D) 각도(안각, 방위각).

단위는 스테라디안(steradian, sr)을 사용한다. 스테라디안은 국제 단위계(SI: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의 유도 단위(derived unit)이다. 입체각의 차원은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는 양으로, 무차원(dimensionless)이다.

1 스테라디안(sr)은 반지름이 R인 구에서 ‘표면적/거리의 제곱’(= A/R2)에 해당된다. 따라서 구의 전체 입체각은 4πR2/R2 = 4π 스테라디안(sr)이 된다.

[자동 통역, 自動通譯automatic speech translation]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대화를 자동으로 통역하는 기술.

자동 통역 기술은 사람의 말소리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언어의 문자로 변환하는 자동 음성 인식(AS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한 언어의 문자를 다른 언어의 문자로 변환해 주는 기계 번역(MT: Machine Translation),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해 주는 문자 음성 변환 합성(text-to-speech synthesis) 기술 등으로 구성된다. 자동 통역을 사용하여 언어 장벽으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동 통역을 위한 모바일 앱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개발한 ‘지니톡(GenieTalk)’, 네이버(Naver)사의 ‘파파고(papago)’ 등이 있다.

[저전력 단거리 무선망 IPv6, 低電力短距離無線網- [개정]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6LoWPAN]

저전력, 저비용, 적은 대역폭 기반의 장치들을 기존 인터넷에 바로 연결하기 위해 IPv6 주소를 적용하는 단거리 무선망 기술.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내 6LoWPAN 작업 그룹에서 기술 표준 RFC 4944(기본), RFC 6282(헤더 압축), RFC 6775(이웃 탐색 최적화) 등을 제정하였다.

[전자 개척자 재단, 電子開拓者財團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EFF]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하는 국제 비영리 단체.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 보호, 공정 이용, 저작권, 정보 공개 등을 위해 법률적 지원과 소프트웨어 개발, 언론 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동한다. 199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되었으며, 후원금으로 운영된다.

전자 개척자 재단(EFF)은 2012년 모질라(Mozilla) 등 70여개 단체들과 함께 미국 의회에 제출된 온라인 저작권 침해 금지 법안(SOPA: Stop Online Piracy Act)과 지식재산권 보호 법안(PIPA)에 대하여 반대하는 공개서한을 의회로 보내는 등 법안 반대 운동을 펼쳤다.

※ 온라인 저작권 침해 금지 법안(SOPA: Stop Online Piracy Act): 인터넷상에서 저작권이 침해된 경우 법적 조치(웹사이트 차단 등)의 내용 포함

※ 지식재산권 보호 법안(PIPA: Preventing Real Online Threats to Economic Creativity and Theft of Intellectual Property Act of 2011, PROTECT IP Act): 경제적 창의성에 대한 실질적 온라인 위협 및 지식재산권 침해 방지 법안으로 저작권을 침해한 웹사이트로의 접속을 제한하게 하는 수단을 명시

[전자식 매대 표시기, 電子式賣臺標示器Electronic Shelf Label, ESL]

매장 상품 진열대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각 상품별로 가격, 원산지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전자 종이(e-paper) 단말.

전자식 매대 표시기(ESL)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와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태그(tag) 기기로 구성된다. ESL 중앙 관리 서버에서 상품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면, 게이트웨이가 무선 통신으로 수천수만 개의 ESL 태그로 전달한다. 태그에는 문자, 바코드, 사진 등이 표시된다. ESL을 이용하여 상품별 재고 현황, 가격 변경, 할인 기간 등을 자동으로 전 매장에 동시에 반영할 수 있어 매장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제4차 산업혁명, 第4次産業革命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s) 기술을 토대로 탄생한 산업 혁명.

제4차 산업 혁명은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3D 프린팅, 생명공학 등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실세계 모든 사물들의 지능화(intelligent)와 초연결(hyper-connection)을 지향한다. 따라서 기존 산업 혁명에 비해 제4차 산업 혁명의 속도(velocity)와 범위(scope), 시스템에 끼치는 영향(system impact)은 매우 크다. ‘제4차 산업 혁명’ 용어는 독일 정부 정책인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에서 제조업과 정보통신이 융합되는 단계를 의미하였으나,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언급되며 ICT 기술을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다.

[지능형, 知能型intelligent]

정보를 습득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예측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형용사.

컴퓨터, 자동차, CCTV, 애플리케이션 등에 인공 지능(AI) 기술이 적용되어 ‘지능형(intelligent)’ 수식어가 붙는다. 예로 지능형 자동차(intelligent vehicle), 지능망(intelligent network), 지능형 교통 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 가상 비서(IPA: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등이 있다.

[지시에스이(GCSE)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s, GCSE]

엘티이(LTE) 기반의 동시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eMBMS: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등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 내 다수의 사람들에게 그룹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

하나의 공용 방송 채널을 통해 대규모 그룹 통신이 가능하여, 대형 재난 지역에 밀집된 수백 명의 구조 요원들이 재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GCSE

기술은 2015년 3GPP 릴리즈 12에 처음으로 포함되어 표준화되었다.

[초저지연, 超低遲延ultra-low latency]

사물 통신에서 종단 간(end-to-end) 전달 시간이 매우 짧은 것을 의미하는 용어. 사물 통신이 발달하면서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한 응용에 초저지연 통신이 필요하게 되었다.

5G 이동통신(IMT-2020)에서는 종단 간 1 밀리세컨드(msec) 수준의 초저지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참고 ITU-R M.2083 IMT-Vision(2015)

[출구 필터링, 出口- egress filtering (동의어) 이그레스 필터링]

내부 통신망의 라우터나 방화벽에서 외부로 나가는 데이터의 속성을 검사하고 흐름을 제어하는 보안 방법.

조직 내부에 존재하는 공격의 위협이 밖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내부 컴퓨터가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attack)으로 좀비 PC가 된 경우 외부 컴퓨터를 감염시키지 못하게 차단하여 감염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내부 통신망에 유입되는 외부 데이터를 검사하여 유해하다고 판단되면 차단하는 입구 필터링(ingress filtering) 방법이 있다.

[태평양 횡단 새 해저 케이블, 太平洋橫斷新海底-New Cross Pacific cable system, NCP cable system]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미국을 직접 연결하기 위해 태평양에 새로 포설되는 대용량의 해저 광케이블.

최신 광케이블 기술을 사용해 초당 80 테라비트(Tbps)의 전송 용량을 제공하며 총길이 1만4천여 킬로미터(km)이다. NCP 케이블 건설을 추진하는 NCP 컨소시엄은 각국의 통신사업자(한국 KT, 중국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일본 소프트뱅크, 대만 청화텔레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가 참여하며 KT가 총괄 운영을 맡는다.

[해저 통신 케이블, 海底通信-submarine communications cable]

육지와 도서 또는 국가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해저에 설치하는 케이블.

TTA 정보통신용어사전

페이지 18 / 21

해저 통신 케이블의 재질은 초기에는 구리 케이블이 사용되었으나 회선 용량 증대를 위해 동축 케이블과 광케이블이 사용되었고, 국제 통신량의 급증으로 광케이블이 주로 사용된다. 세계 최초 해저 케이블은 1851년에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도버 해협에 포설된 해저 전신 케이블이다. 해저 동축 케이블은 1956년 처음으로 미국과 영국을 잇는 대서양에 포설되었으며(제8 대서양 횡단 케이블(TAT-8)), 해저 광케이블은 1989년에 태평양에 처음 포설되었다(제3 태평양 횡단 케이블(TPC-3)). 우리나라 최초 해저 케이블은 1980년 부산과 일본 시네마현 하마다 간에 포설된 한일 간 280 km 거리의 해저 동축 케이블(K-J cable) 로서 2,700 회선 규모이다.

※ 해저 광케이블 관련 국제 표준 ITU-T G.971 ~ G.978

댓글